•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본개신(返本開新)의 관점으로 본 성리학의 윤리교육사상 (From ‘Frontiering through Return to the Root’s Point of View on Neo-Confucianism’s Thoughts of Ethics Educat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8.01
29P 미리보기
반본개신(返本開新)의 관점으로 본 성리학의 윤리교육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윤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윤리교육연구 / 47호 / 33 ~ 61페이지
    · 저자명 : 김기현

    초록

    성리학의 윤리교육사상이 ‘근본으로 돌아가 새롭게 펼쳐 낸’ 반본개신(返本開新)의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대안이라는 사실은 아직 학계에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교육현장의 윤리교육 실태를 직접 겪어 본 주희(朱熹)는 25세 때부터 당시 송대사회의 공교육(公敎育)이 개인의 출세를 위한 위인지학(爲人之學)에 매몰되어 있는 비정상적인 현실에 발분(發奮)하여 유학의 본원에로 돌아가 근본적인 대안을 세우는 장정(長程)을 시작한다. 이 과업은 도남학(道南學) 계열의 이학자(理學者)인 스승 이통(李侗)의 지도, 호상학(湖湘學)의 수용 및 중화구설(中和舊說)의 건립, 40세에 중화신설(中和新說)의 확정, 사서집주(四書集註)의 완성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58세 때 『소학』을 저술함으로써 완료된다. 『소학』은 오륜(五倫)을 일상생활 중에 습관화하는 명륜(明倫)교육과 미발시(未發時)에 철두철미 거경(居敬)하는 경신(敬身)교육을 핵심으로 하는 윤리교재이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당시의 윤리교육에 대한 주희의 문제의식이 무엇이었는지를 확인해 보고, 특히 소학단계의 윤리교육이 신유학(新儒學)의 공부론(工夫論)에 의거한 독창적인 대안임을 논의한다. 그리고 주희 및 성리학자들이 근거로 삼은 고대의 교육이라는 것이 반드시 역사적 사실의 것은 아닐 수 있음에 관해서도 짚어본다.

    영어초록

    The fact that thoughts of ethics education in Neo-Confucianism is a creative and innovative alternative to the principle of fan-ben-kai-xin, which means ‘frontiering through return to the root,’ is not yet widely known in the academic world. At the age of 25, Chu Hsi, who witnessed and experienced moral education in the schools himself, was disappointed at the abnormality that the public education of Chinese society at that time during the Sung dynasty was shadowed by learning for the sake of others’ approb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he individual. Thus, he started a long journey to return to the basic principle of Confucianism and to establish a fundamental alternative. Chu Hsi completed this task with his compiling the Elementary Learning at the age of 58 after passing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This includes learning from the Master Lee Tung, a Neo-Confucian of Dao-nan School, adoption of Hu-xiang School’s theory, building of the old theory of equilibrium and harmony, then establishment of the new theory of equilibrium and harmony at the age of 40, and completion of Collected Comments on the Four Books.
    The Elementary Learning is a textbook that focuses on Ming-lun education that encourages making habit of practice of the Five Moral Norms and Jing-shen education that keeps cultivating oneself thoroughly before the feelings of pleasure, anger, sorrow and joy are aroused.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that Chu Hsi perceived regarding ethics education of the time, and discusses whether or not ethics education at the stage of the elementary learning in particular is a creative alternative based on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Neo-Confucianism.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s the possibility that the ancient Chinese educaion which Chu Hsi and Neo-Confucians used as an basis may not necessarily have been identical to the actual education held in the ancient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윤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