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영아반 교육과정 실행의 교육적 의미 (Educational Meaning of Implementing Curriculum Created by Infants and Teachers Together)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3.12
29P 미리보기
영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영아반 교육과정 실행의 교육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유아교육학논집 / 27권 / 6호 / 49 ~ 77페이지
    · 저자명 : 이상임, 한종화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영아반 교육과정 실행에서 나타난 교육적 의미를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2019년 6월 17일부터 2020년 1월 31일까지 K도 W시에 소재한 무지개어린이집에서 만1, 2세 혼합반의 공동 담임인 김 교사, 박 교사와 협력적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협력적 실행과정은 ‘영아의 놀이 존중하기’, ‘영아의 놀이 관찰기록하기’, ‘영아의 놀이로 교육과정 구성하기’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자료는 참여 관찰, 면담과 협의, 교사 저널, 연구자 일지, 문서 등을 통해 수집되고 분석되었다. 영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영아반 교육과정 실행에서 나타난 교육적 의미는다음과 같다. 첫째, 해님반 영아들은 ‘놀이로 성장하는 영아’들이었으며, 교사들은 놀이로 성장하는 영아를 이해하게 되었다. 둘째, 해님반 영아들과 교사들은 함께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면서 이분법적으로구분 짓던 ‘경계로부터 자유로운 실천’을 할 수 있었다. 셋째, 해님반 영아들과 교사들은 ‘상호호혜적인관계 형성’을 하면서 해님반만의 살아있는 교육과정을 만들어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실행의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공유하는 실천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implementing a curriculum created by infants and teachers. From July 17, 2019 to January 31, 2020, the researcher conducted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with teachers Kim and Park, co-teachers of a mixed class for 1- and 2-year-olds, at the Rainbow Daycare Center located in W City, K Province. The collaborative implementation process consisted of implementation of Respecting Infants’ Play, implementation of Recording Observations of Infants’ Play and implementation of Constructing a Curriculum through Infants’ Pla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and consultations, teacher journals, researcher diaries, and document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created by infants and teachers is as follows. First, the infants in Haenim class were infants growing through play, which the teachers understood. Second, by creating a curriculum together, the children and teachers of the Haenim Class were able to practice freely, away from dichotomous boundaries. Third, the children and teachers of Haenim Class created a living curriculum unique to the class by forming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practical material for sharing the educational meaning and value of implementing curricula created by infants and teac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아교육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