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직계비속의 직계존속에 대한 고소권 박탈의 위헌성 -헌재 2011. 2. 24, 2008헌바56- (Eine Besprechung ueber eine Entscheidung des Koreanischen Verfassungsgerichts (KVfGE v. 24.02. 2011, 2008VfBa56) bzw ueber die Verfassungswidrigkeit des Entzugs des Rechts auf die Strafantragsstellu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2.03
34P 미리보기
직계비속의 직계존속에 대한 고소권 박탈의 위헌성 -헌재 2011. 2. 24, 2008헌바56-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헌법학연구 / 18권 / 1호 / 147 ~ 180페이지
    · 저자명 : 남복현

    초록

    이 글은 직계비속은 직계존속을 고소하지 못한다고 규정한 형사소송법 제224조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합헌결정을 평석한 것이다. 핵심적인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가 형벌권을 독점한 이상 형사절차에 있어 형사피해자의 고소권은 재판청구권의 내용을 이루는 사법행위청구권과 법적 청문 청문권의 형태로 그 의미가 표출된다 할 것이다. 그러나 헌법재판소는 고소권을 법률상 권리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둘째, 직계비속의 직계존속에 대한 고소권을 박탈한 것은 그로 인해 재판절차진술권의 중대한 제약에 해당되는 여부를 둘러싸고 합헌의견과 위헌의견은 그 견해를 달리 하였다. 생각건대, 보다 근본적으로 고소권은 형사절차에서 헌법상 보장된 재판청구권의 내용을 이룬다는 점에서 접근함이 타당하다.
    셋째, 헌법재판소는 직계비속의 직계존속에 대한 고소권박탈과 관련해서 평등원칙의 위반여부를 심사하였지만, 이때 비교대상집단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았다. 추단컨대, 일반국민을 선정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이 경우에는 평등원칙의 위반여부를 심사할 것이 아니었고, 과잉금지원칙의 위반여부를 심사함이 적절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평등원칙의 위반여부를 심사하고자 하였다면, 동등한 여건을 갖추었지만 고소권이 박탈되지 아니한 인적 집단을 비교대상집단으로, 즉 성범죄의 피해자인 직계비속으로 함이 적절하였을 것이다.
    요컨대, 직계비속이 직계존속에 대한 고소권을 박탈당했다고 해서 직계존속보다 직계비속이 신분상 차별을 받는 것이라는 차원에서의 평등원칙 위반여부의 판단은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Hier handelt es sich um die Besprechung ueber eine Entscheidung von Koreanischen Verfassungsgericht, die besagt, dass § 224 KStPO verfassungsmaessig ist, indem der/die Nachkommende in gerade Linie gegen seinen/ihren Vorfahrenen keinen Strafantrag stellen oder Strafanzeige erstatten kann. Etwa ausfuehrlicher kann man sie wie folgenden beschreiben.
    Erstens hat die KVfG das Recht auf Stellung des Strafantrags oder Erstattung der Strafanzeige fuer ein Recht auf Ebene des einfachen Gesetzes gehalten, indem dabei verneint hat, dass der/die Verletzte im Strafverfahren einen Strafantrag meines Erachtens als ein Rechtwegsgarantie d.h. ein Grundrecht auf Ebene der Verfassung habe, dessen Inhalt in dem Anspruch auf judiziellen Verhandlungen und dem auf rechtliches Gehoer liege.
    Zweitens stehen die Meinungen der Mehr- und Minderheit beim Verfassungsgericht darueber gegenueber, ob es verfassungswidrig ist, den Nachkommenden die Rechte auf die Strafantragsstellung oder die Strafanzeigenerstattung gegenueber den Vorfahrenen in gerade Linien auf Ebene des Gesetzes zu entziehen. Grundsaetzlich setzt die Loesung dieser Problemen meines Erachtens voraus, dass sie ein Teil von dem Grundrecht auf den Rechtsweg im Strafverfahren auf Ebene der Verfassung ist.
    Drittens fehlt es bei dieser Entscheidung des KVfG in Hinblick auf das Prinzip der Gleichheit daran, welche Gruppe die damit zu vergleichende ist. Vermutlich kann man annehmen, es waere ein/e allgemeine/r Buerger/in. Dann sollte der Massstab fuer Pruefungen nicht das Prinzip der Gleicheit sondern das des UEbermassverbots sein. Bei der Anwendung des Prinzips der Gleichheit sollte das VG dennoch richtigerweise die damit zu vergleichende Gruppe, die unter gleichen Umstaenden liegen und noch sie bei ihnen behalten, annehmen. Beispielsweise waere es zu Recht der Fall, wenn die/der Nachkommende die/der Verletzte beim sexuellen Verbrechen ist.
    Auf keinen Fall soll schliesslich die Nachkommende bei der Anwendung des Prinzips der Gleichheit direkt mit den Vorfahrenen auf Grund dessen verglichen werden, dass jenen standesrechtlich das Recht auf Strafantragsstellung oder Strafanzeigenerstattung entzogen sei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헌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