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민소송에서의 이른바 3호소송의 법적 문제에 관한 일고찰 (A Study on the Legal Issues of the so-called No. 3 Litigation in Residents' Lawsui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2.03
28P 미리보기
주민소송에서의 이른바 3호소송의 법적 문제에 관한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자치법연구 / 22권 / 1호 / 145 ~ 172페이지
    · 저자명 : 함인선

    초록

    우리 주민소송은 ‘공금의 지출, 재산의 취득·관리·처분, 계약의 체결·이행’이라는 3개의 ‘행위’와 ‘공금의 부과·징수를 게을리한’ 1개의 ‘사실’을 대상으로 제기하여야 한다. 또한, 지방자치법은 주민소송의 유형에 대해 4가지로 특정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3개의 ‘행위’와 관련하여서는 주로 이른바 1·2·4호소송을 그 대상으로 상정하였으며, 1개의 ‘공금의 부과·징수라는 업무를 게을리한 사실’과 관련하여서는 이른바 3호소송의 제기를 상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처리와 관련하여서는 이러한 ‘행위’에 대한 감시·통제뿐만 아니라 ‘업무를 게을리한 사실’ 즉 소극적인 부작위에 대한 감시·통제도 매우 중요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선별적인 부작위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처리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해치고 재량권의 일탈·남용을 낳는 경우가 적지 아니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민소송 실제에서 3호소송의 활용은 매우 저조하다고 할 수 있고, 학계 등의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대해, 일본의 3호소송은 주민소송 실제에서 우리의 경우보다 빈번히 이용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연구의 축적도 우리에 비해 풍부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입각하여, 본고는 주민소송 유형 중에서 3호소송에 대해 일본의 사례와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3호소송의 의의와 그와 유사한 부작위위법확인소송과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3호소송에 특유한 법적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3호소송에 특유한 법적 쟁점에 관한 검토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로, ‘공금의 부과·징수를 게을리한 사실’은 예컨대 공금을 부과해야 할 구체적 요건을 충족하고 있는데도 부과하지 아니한 경우 또는 구체적 공금채권이 발생하고 있는 데도 징수하지 아니한 경우 등을 말하지만, 공금의 부과·징수와 관련하여, 그것을 할 것인지 여부의 권한 행사가 부과·징수권자의 재량사항인 경우에도 그 재량권의 행사가 법령에 의하여 어떠한 형태로든 규제를 받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 법령의 취지·목적에 배치되는 재량권의 불행사는 ‘게을리한 사실’에 해당하고, 그것이 위법한 경우에는 3호소송의 요건을 충족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로, 주민소송은 주민감사청구와 달리 ‘위법한’ 일정한 재무회계사항에 대해서만 그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3호소송도 ‘게을리한 사실’의 ‘위법성’을 추궁하는 소송유형이며, 이러한 위법성 판단은 3호소송의 적법요건이 아니라 본안심사요건이라는 것이 우리 대법원과 일본 최고재판소의 공통된 입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로, 3호소송은 일정한 ‘게을리한 사실’을 그 대상으로 하는바, ‘게을리한 사실’에 대해서는 부작위 상태가 계속되는 한 시정되어야 할 위법·부당한 재무회계상의 상태도 계속되기 때문에 주민감사청구기간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둘러싸고 논란이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게을리한 사실’이 계속되는 한 주민감사청구기간의 제한이 적용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특정한 재무회계상의 행위가 위법·무효인 것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실체법상의 청구권의 불행사에 대한 주민감사청구에 대해서는 감사청구기간 제한의 규정이 적용된다고 본다. 또한 ‘게을리한 사실’에 대해 감사청구기간의 제한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그 기산점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논란이 있으나, 이와 관련하여서는, 실체법상의 청구권이 해당 행위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아직 발생하지 않아 이를 행사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감사청구기간 제한의 적용이 없고, 실체법상의 청구권이 발생하여 이를 행사할 수 있게 된 날을 기준으로 하여 기산점을 정하여야 한다는 견해가 일본 최고재판소 판례의 입장이며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로, 4호소송에 3호소송이 병합 제기되는 것이 적법한지 여부를 두고 논란이 있지만, 지방자치법은 양 소송유형 간에 우선순위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는 점, 양 소송유형 간의 효과도 위법의 확인(3호소송)과 손해배상이나 부당이득반환의 청구 또는 배상명령 발령의 의무이행(4호소송)으로 서로 차이가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4호소송이 제기되어 있는 경우에도 3호소송을 병합 제기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Korean resident's lawsuit must be brought against the three 'acts' of 'spending public money, acquisition, management and disposition of property, and the conclusion and implementation of contracts' and one 'fact' of 'negligence in the imposition and collection of public money'. In addition, the Local Government Act specifically stipulates four types of resident's lawsuit, and mainly targets the so-called No. 1, 2, and 4 litigations in relation to the three 'acts', and it can be said that it assumes filing the so-called No. 3 litigation in relation to the fact of neglecting the task of imposition and collection of public money.
    Regarding the handling of local government’s affairs, monitoring and control not only of these 'acts' but also of 'negligence in tasks', that is, monitoring and control of passive omissions, are very important means. 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cases where such selective omission undermines the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local governments' office tasks and leads to deviations and abuse of discretion.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utilization of No. 3 litigation in the practice of resident's lawsuit is very low, and it is difficult to say that research in academia and the lik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contrast, Japan's No. 3 litigation is used more frequently than in our case in the actual resident's lawsuit, and it can be said that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on it is more abundant compared to ours.
    Based on this recognition of the problem, this paper examined No. 3 litigation among the types of resident's lawsuit, focusing on Japanese cases and theories, and focusing on major legal issues peculiar to No. 3 litig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