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터넷 밈의 확산 과정에 대한 연구: 이용자의 연령, 성, 지역별 확산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Dynamics of Internet Meme Diffusion Across Age, Gender, and Regional Group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4.08
46P 미리보기
인터넷 밈의 확산 과정에 대한 연구: 이용자의 연령, 성, 지역별 확산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 25권 / 3호 / 301 ~ 346페이지
    · 저자명 : 최정현, 김지호

    초록

    인터넷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현대에서 디지털 문화로 자리 잡은 인터넷 밈을 이해할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최근 인터넷 밈을 마케팅에 활용하여 소비자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면서 이와 동시에 매출 증진을 꾀하려는 시도는 국내외에서 흔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인터넷 밈을 마케팅 맥락에 활용했을 때의 효과성을 검증하려는 연구 또한 진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들은 인터넷 밈의 내용이나 형태, 기능 등 여러 관점에서 인터넷 밈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노력해 왔으며, 인터넷 밈의 성공 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인터넷 밈의 확산 과정에서 밈이 어떻게 변화해 나가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밈에 대한 여러 특성을 종합하여 기술할 필요는 여전히 존재하며, 인터넷 밈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다수의 이용자에게로 확산이 진행되는가에 대한 설명이 구체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전 연구자들의 제안과 경험적 결과를 종합하여 인터넷 밈의 개념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인터넷 이용자의 연령대와 성별, 그리고 지역별 인터넷 밈의 확산 추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유행한 4개의 인터넷 밈 검색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터넷 밈에 대한 관심도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밈은 초기에 빠르게 관심이 증가했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심이 점차 하락해 소멸 단계로 접어들었다. 특히 20대와 30대의 젊은 연령대에서 인터넷 밈에 대한 관심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비교적 빠르게 증가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20대와 30대에 인접한 다른 연령대부터 시작해 다양한 연령대에서도 인터넷 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인터넷 밈 확산 초기에는 특정 성별의 관심이 높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다른 성별의 관심도 증가하였다. 셋째, 인터넷 밈 검색에서 각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특히 서울의 경우 통계청에서 제시한 인구 비율보다 적게는 3%에서 많게는 6%가량 더 높았으며, 일부 광역시 지역에서도 이와 유사한 현상이 관찰되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 밈에 관한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면서 밈의 발생, 가속, 둔화, 쇠퇴 과정을 설명하는 인터넷 밈의 확산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internet’s influence on consumers is significant, making it increasingly critical to understand internet memes, a key element of modern digital culture. Recently,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use of internet memes in marketing has become commonplace, prompting research into the effectiveness of meme marketing. Previous studies hav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internet memes and have attempted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content, form, and function. Efforts have also been made to identify the success factors and diffusion processes of internet memes. However, comprehensive studies that integrate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internet memes are still lacking, and a detailed understanding of how internet memes diffuse among a large number of users remains insufficient. This study builds on the suggestions and empirical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ers by describing the concept of internet memes and examining trends in meme search volumes using search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rnet memes receive a surge of interest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diffusion but gradually enter a decline phase. Interest in memes increased more rapidly among younger age groups in their 20s and 30s, and over time, interest spread to other age groups, eventually diffusing across all age groups. Second, during the early stages of meme diffusion, interest was higher among a specific gender, but over time, interest from the other gender increased. Third, the proportion of search volume for internet memes was higher in large cities compared to small towns, and this proportion was higher than the actual population ratio of these area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internet memes and proposes a diffusion model encompassing the stages of outbreak, acceleration, slowdown, and erosion of me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