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 집단정체성, 문화적응 이데올로기와 접촉이 이주민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Psychological Adaptation of Koreans in the Multicultural Era: The Effects of Social Identity, Acculturation-related Ideologies, and Intergroup Contact on Prejudice Against Migrants in Korea)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1.05
39P 미리보기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 집단정체성, 문화적응 이데올로기와 접촉이 이주민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5권 / 2호 / 51 ~ 89페이지
    · 저자명 : 김혜숙, 김도영, 신희천, 이주연

    초록

    본 조사 연구에서는 한국인들이 이주민 집단들(즉,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자녀, 새터민 및 조선족)에 대해 가지는 태도가 내집단에 대한 태도와 비교해 얼마나 부정적이며, 또한 이러한 태도가 집단정체성, 문화적응 관련 신념 및 집단간 접촉 정도에 의해 어떻게 영향 받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적 조사 연구를 실시하여 한국인 1800명(성인 1000명, 중고등학생 800명)을 다단계층화 표집방법을 통해 표집하고 개별 인터뷰 방법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예상대로 한국인들은 강한 내집단 편애 혹은 상대적 외집단 비하 태도를 나타냈는데, 대상 집단에 따라 다른 태도가 나타났으며 특히 청소년들의 이주민에 대한 태도가 성인에 비해 더욱 부정적이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사회정체 이론이 제안하는 대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이 높을수록 이주민에 대한 편견적 태도가 더 높았는데, 이러한 효과는 정체성위협이 높아질수록 더 강해졌다. 또한 접촉 수와 달리 접촉 빈도만이 편견감소를 예측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접촉과 신념간의 상호작용이 편견적 태도를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접촉 빈도와 동화주의 신념이 편견에 미치는 영향 과정은 각각 집단간 불안이나 위협감(이득, 정체성)에 의해 매개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이론적 의미와 현실적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is survey research investigated whether Koreans’ attitudes toward migrants were affected by group identity, acculturation-related ideologies, threat, and intergroup contact. More specifically, we compared Koreans’ attitudes toward five different migrant groups (i.e., migrant workers, marriage migrant wome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North Korean defectors and ethnic Koreans in China) to those toward Koreans (i.e., ingroup). We also explored whether prejudice toward migrants was affected by the in-group identification as Koreans, multiculturalism or assimilation ideologies, and the degree of contact with the migrants. To explore these issues, we conducted a nation-wide survey using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in which 1,000 Korean adults and 800 adolescents participated and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items asking about their attitudes (i.e., feeling thermometer, social distance, ideology, identification)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s expect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Koreans exhibited strong in-group favoritism: they evaluated their in-group more favorably than the migrant groups on the feeling thermometer scale, and the in-group favoritism of adolescents was stronger than that of adults. The results also demonstrated that in line with the social identity theory, high in-group identifiers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 migrant groups than low in-group identifiers, especially when the participants perceived high identity (i.e., symbolic) threat.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on the social distance measures (i.e., ingroup-outgroup) demonstrated that the more Koreans endorsed assimilation ideology, the more the number of out-group acquaintances and the more they perceived realistic threats, the more negative their attitudes toward migrants became. On the other hand, endorsing multiculturalism ideology and contacting the migrants more frequently was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out-group attitudes. Finally, intergroup anxiety as well as identity threat or realistic threat, respectively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contact frequency(or the endorsement of assimilation ideology or value of authoritarianism) on attitudes toward migrant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