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가의 자국민 보호의 권한과 의무 -강제징용피해자와 일본군위안부 배상을 위한 국가의 교섭의무- (The State Right and Obligation to Protect Its Own Nationals under International Law)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3.06
23P 미리보기
국가의 자국민 보호의 권한과 의무 -강제징용피해자와 일본군위안부 배상을 위한 국가의 교섭의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사법연구 / 19권 / 1호 / 3 ~ 25페이지
    · 저자명 : 장복희

    초록

    국제적 차원에서 인권법의 국제사법제도 내 가히 ‘혁명적인’(revolutionary) 요소가 도입되고 있고 제도 자체에 점진적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외교적 보호는 전형적인 국가 간 제도이고 국제규범에 의하여 규율되고, 성격상 변화의 저항을 받고 있으나 국제인권규범에 의하여 점차 확대 해석되고 이행되어 나가고 있다. 외국인처우법에 인권법이 점차 수용되면서 오랜 전통의 외교적 보호제도는 개인 중심의 ‘새로운’(new) 인권철학이 담겨지고 있다. 국가의 자국민 보호는 권리나 선택적인 재량의 문제가 아닌 법적 의무가 된다는 법리가 국제법과 국내법적으로 확인되기 시작되었다.
    세계인권선언의 핵심은 일차적으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 즉 정치공동체 내에 개인이 활동할 수 있는데 필요한 자유를 밝히는데 있다. 이 선언은 노예, 고문으로부터의 자유, 법 앞에 인간으로서의 인정과 동등할 권리, 자의적인 체포로부터의 자유, 공정한 형사절차를 받고, 표현의 자유의 존중과 같은 시민적 자유를 공언하고 있다.
    2011년 8월 30일 일본군위안부 배상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과 2012년 5월 24일 일제강제징용배상에 관한 대법원 판결은, 이러한 세계인권선언의 정신을 되살리고, 인간의 자유와 평등을 확대해 나가며, 21세기의 국제사회의 현안인 소수자 보호의 국가의무를 강조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지금까지 오랫동안 유지해왔던 국가 중심적 사고가 아닌 개인 기본권 중심의 사고의 전환점을 마련하고 현 국제규범보다 한발짝 더 나아가 발전되고 확대된 해석을 적용하였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코피 아난 전 UN사무총장은 “국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개인이 중요하다”고 설파한 바 있다. 이제는 국가 중심의 사고와 허울만 좋은 인권논의는 더 이상 지양해야 하고, 국제인권규범을 통한 개인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자유와 평등을 확대해 나가는 방향으로 일관성있는 법리가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judicial system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t the international level ‘revolutionary’ elements have been introduced to the system itself and changes gradually have brought. In long tradition of diplomatic protection system as state' rights, the individual-centered ‘new’ philosophy of human rights has been contained. International law and domestic law begin to identify legal principles that to protect the country's own nationals is legal obligations of states rather than a matter of discretion of a state.
    The essence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s to embody civil and political rights and elucidate fundamental freedom of individuals to act within a political community. This Declaration is to proclaim civil liberties such as freedom from torture and slavery, right to be recognized as a human being and to be equal before the law, freedom from arbitrary arrest, a fair criminal proceedings, and respect of freedom of expression.
    The freedom and equality of human beings,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August 30, 2011 regarding compensation for comfort women and revive the spirit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f May 24, 201 on the restitution of the Japanese force drafted emphasize the state protection obligation of its' nationals which is minorities protection issu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21st century, reviving the spirit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expanding individual freedom and equality. Above all, these decisions has a great meaning in a way to develop one step further current international standards as a turning point of adopting individual-centered fundamental rights way of thinking rather state-centered thinking which had dominated so far in a long te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사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