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19 팬데믹과 젠더정치학: 돌봄의 민주화와 지역화를 향하여 (COVID-19 Pandemic and the Gender Politics: Towards the Democratization and Localization of Car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3.06
33P 미리보기
코로나19 팬데믹과 젠더정치학: 돌봄의 민주화와 지역화를 향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지역과 정치 / 6권 / 1호 / 75 ~ 107페이지
    · 저자명 : 안숙영

    초록

    코로나19 팬데믹은, 돌봄을 중심으로 한 젠더정치학의 차원에서 보자면, 바이러스의 전파에 따른 감염병 위기가 전 세계적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는 계기였다. 팬데믹 기간 동안에 일터와 집안 모두에서 사회가 필요로 하는 돌봄을 제공한 것은 주로 여성이었다. 즉 아이와 노인과 장애인을 비롯하여 돌봄을 필요로 하는 이들에게 돌봄을 제공함으로써, 인류의 역사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전 지구적 감염병 위기 속에서도 인류의 생존이 가능하도록 만든 것은 대부분 여성이었다. 따라서 엔데믹으로 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가 이번의 팬데믹을 ‘돌봄 중심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적극적인 계기로 삼고자 한다면, 무엇보다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의 하나가 바로 이러한 돌봄의 젠더불평등을 극복하는 일이다. 돌봄의 평등한 분배와 ‘돌봄의 탈여성화’를 통해 ‘돌봄의 민주화’를 이루어냄으로써, 돌봄을 ‘여성의 일’로만 여기던 팬데믹 이전의 편견으로부터 벗어나, 돌봄은 지구 위에 존재하는 모든 인류의 일이라는 인식을 함께 하는 일이다. 다른 하나는 ‘돌봄 중심 사회’로의 전환에 있어 우리의 매일 매일의 일상의 삶이 구체적으로 펼쳐지는 장소로서의 ‘지역’에 초점을 맞춰, 삶의 터전이자 현장으로서의 지역의 의미에 새롭게 천착하는 일이다. 돌봄의 본질은 만남이라는 점에서, ‘돌봄의 지역화’를 그 출발점으로 하여 지역이 인간과 인간의 만남의 구체적인 장소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일이다.

    영어초록

    The COVID-19 pandemic, in terms of gender politics centered on care, was an event which clearly showed that the infectious disease crisis caused by the spread of the virus did not have the same impact on both men and women worldwide. During the pandemic, it was primarily women who provided the care which the society needed, both at the workplace and at home. In other words, by providing care to those in need of care, including childr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it was mostly women who made it possible for mankind to survive even in a global infectious disease crisis that was unprecedented in human history. Therefore, if we want to take this pandemic at this point where we are in the midst of an endemic, as an active opportunity to transform society into one that is ‘care-centered’, one of the things we need to keep in mind above all else is to overcome gender inequality in care. By achieving the ‘democratization of care’ through the equal distribution of care and ‘defeminization of care’, we have to break away from the pre-pandemic prejudice that considered caring only as ‘women's work’ and accept that caring is the work of all of mankind on Earth.Moreover, we have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local’ as a place and a field of life in the transition to a care-centered society, but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focusing on ‘the local’ as a place where our daily lives are concretely happening. It is necessary to view the local as a specific place for human-to-human encounters with the ‘localization of care’ as an important step in that dir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