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저소득 취약․위기가족의 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Daily Life Experience of Low Income Vulnerable/in-Crisis Famil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1.12
39P 미리보기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저소득 취약․위기가족의 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 / 29권 / 4호 / 725 ~ 763페이지
    · 저자명 : 이경란, 최정숙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저소득 취약⋅위기가족의 생활 경험을 내부자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한부모, 조손, 양부모, 장애 가족을 포함하는 저소득 취약⋅위기가족 9가족 내 성인 1명씩, 총 9명을 선정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8개의 구성요소, 24개의 하위 구성요소, 120개의 의미 단위로 분석되었고, 최종 도출된 구성요소는 ‘전대미문현상을 맞닥뜨림’. ‘일상생활에 닥친 가시밭 고통’, ‘생존 명분에 방치된 아동, 청소년의 삶’, ‘가족 내 무너진 경계선’, ‘사회적 연대감 균열’, ‘삶을 향한 호흡기 덧대기’, ‘가족가치 회복’, ‘자기애 발견과 희망 날개 펼치기’였다. 핵심적 본질은 험난한 과정 속에서도 자기애 발견과 긍정적 희망을 향한 여정으로 규명했다. 연구결과에 기반해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저소득 취약⋅위기가족의 생활 경험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고, 학술적⋅실천적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 depth the daily life experiences of low income vulnerable/in-crisis famil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rom an insider perspective. Methods: Nine low income, vulnerable/in crisis adults from single parent, grandparent, both parents and parent with physically disabled family members were selecte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followed by analysis using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sisted of 8 components, 24 subcomponents, and 120 semantic units. The final components were “facing an unprecedented event”, “Imminent thorny pain in daily life”, “children and adolescents neglected under the pretext of survival”, “breakdown of boundaries within the family”, “breach in the social sense of solidarity”, “daily life on a ventilator”, “recovery of family values”, and “spreading the wings of hope after discovering self-love”. Conclusion: The essence of the daily life experiences was scrutinized as a journey toward the discovery of self-love and positive hope. Based on the results, the baseline data for understanding the daily life experiences of low income vulnerable/in-crisis families has been presented with academic and practic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