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중 패권 경쟁과 북미 관계: 부시 행정부에서 트럼프 행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Sino-U.S. Hegemonic Competition and U.S.-North Korea Relations from Bush to Trump Administration)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8.12
43P 미리보기
미중 패권 경쟁과 북미 관계: 부시 행정부에서 트럼프 행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가안보전략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국가안보와 전략 / 18권 / 4호 / 117 ~ 159페이지
    · 저자명 : 이원영

    초록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우선주의’와 ‘힘을 통한 평화’를 자신의 대외 정책으로 천명하였으며, 대통령 당선 직후부터 중국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인 압박을 예고했으며, 2018년에는 중국에 대하여 무역전쟁을 선포했다. 그러나 2017년까지 말폭탄을 직접 주고받았고, 군사적 공격까지 검토했던 북한에 대해서는 2018년, 정상회담을 하였으며, 비핵화 협상을 진 행했다. 탈냉전 이후 미국의 동아시아, 특히 중국에 대한 대전략은 ‘방어 적 수용’이었다. 이에 입각하여 부시 행정부 시기 미중 관계는 ‘차이메리 카’로 불렸던 협력의 시기였으며, 이 시기 대북정책은 일방주의적 강압이 었다. 반면에 오바마 행정부 시기 중국의 부상이 현저해지자 미국은 중국 에 대한 ‘재균형’을 추구하였으며, 이 시기 대북정책은 ‘전략적 인내’를 통 한 다자주의적 억지레짐의 형성이었다. 그렇지만 ‘재균형’ 전략은 일정하 게 진동하였고, 결국 중국의 부상을 저지하지 못하였으며, ‘재균형’ 전략 에 입각한 ‘전략적 인내’는 북한 핵능력의 고도화를 저지하지 못하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방어적 수용’의 범주 내에서 중국의 부상 저지를 위한 최고의 압박을 결정하였다. 그런데 북미 관계의 변화는 중국의 동북아 지역 전략의 균열을 가져올 수 있으며, 북중 동맹에도 균열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였다. 따라서 미국 단극 구조에서 도전국으로 간주되는 중국의 부상 저지라는 전략적 선택 하에서, 중국의 동맹인 북한과의 관계 개선이라는 정책적 선택지가 등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렇지만 현재 진행되는 미중 갈등의 타협 여부에 따라 북미 관계는 다시 불확실성에 빠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교착 상태에 있는 비핵화 협상 진전을 위한 대안을바탕으로 북한을 설득하고, 그에 대한 미국의 동의와 중국의 지지를 이끌어 내어야 한다는 것이 한미 동맹의 공고화, 중국과의 협력 강화, 한반도평화 구축이라는 트릴레마 극복을 위한 우리의 과제이다.

    영어초록

    President Trump declared his foreign policy as ‘America First’ and ‘Peace through Strength’ which resulted in pressing China to prevent from rising. And he declared the trade war with China in 2018. But in 2018, Trump’s policy for North Korea changed from ‘Maximum Pressure and Engagement’ to Summit and took a deal for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in spite of that he exchanged word bomb with the North Korea and considered the military attack in 2017. How could the change happen? After post-cold war, the grand strategy of U.S. for Northeast Asia, especially for China was the ‘defensive accommodation’. At Bush Administration, Sino-U.S. relation was a kind of cooperation, called as ‘Chimerica’, and the policy for North Korea was the ‘unilateral coercion’. But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China rose quickly, and then Obama declared ‘Pivot to Asia’, which meant rebalancing, and the policy for North Korea was ‘Strategic Patience’ which aimed at the construction of multilateral deterrence regime. But the rebalancing oscilated and failed to prevent from China rising and ‘Strategic Patience’ failed to keep from North Korea advancing the nuclear capability. Trump determined to press China as strong as possible within ‘defensive accommodation’. In this situation, the change of the relation with North Korea might lead the crack of strategy of China for Northeast Asia and the China-North Korea Alliance. Thus under the U.S. unipolar structure, the strategy to prevent from China rising could expand the range of choice including the conversation for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But if the great strategy of U.S. change from ‘defensive accommodation’ to ‘offensive containment’ as a result of the Sino-U.S. competition for hegemony, the U.S.-North Korea relations will be uncertain. Now South Korea has the trilemma which is not easy to be compatible, consolidating Kor-U.S. alliance, reinforcing Kor-China rela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eace regime of Korean Peninsula. In spite of trilemma, that is the inevitable task for South Korea toward the peace of Korean Penins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