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심는소리의 미발달 원인 연구 -전북지역 모심는소리를 사례 삼아- (A Study of Underdevelopment of Mosimneun Sori -The Case of Jeonbuk Area-)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9.12
35P 미리보기
모심는소리의 미발달 원인 연구 -전북지역 모심는소리를 사례 삼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39호 / 87 ~ 121페이지
    · 저자명 : 김성식

    초록

    모심는소리는 논매는소리에 비해 매우 희소하게 존재한다. 선행연구에서도 모심는소리가 전국적으로 많게는 19종에서 적게는 11개의 유형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논매는소리 202종에 비할 때 극소한 숫자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모심는소리가 발달하지 못한 요인은 무엇일까? 본고에서는 모심는소리의 미발달 내지는 희소성과 관련하여 우선 전북지역 모심는소리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전북지역의 모심는소리는 4종이 존재하는데, 이를 분석해보니 어떤 노래는 밭맬 때 또는 논맬 때 부르던 노래를 전용해서 부르고, 어떤 지역은 타 권역의 영향으로 그 지역 노래를 저항없이 수용해 불렀다. 또 어떤 지역은 이웃하는 타 지역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습합된 노래를 불렀고, 또 어떤 경우에는 판소리에 수용되어 대중적으로 인기가 높은 <농부가>를 차용하여 불렀다. 모심는소리의 이러한 존재양상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민속음악은 그 속성을 ‘현재를 과거와 연결하는 연속성(continuity), ‘개인 혹은 집단의 창조적 충동에서 생기는 변이성(variation), ‘다양한 형(型)을 결정하는 공동체(민중)의 선택성(selectivity)으로 규정한다. 그런데 이러한 민속음악의 속성이 충족되기 위해서는 ‘시간의 적층’이라는 절대적 시간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 정의를 기반으로 살펴보면 모심는소리가 다양성을 갖지 못하고 해당 지역의 고유성으로 정착하지 못한 까닭이, 모심는소리가 생성되고 확고한 기반을 다진 뒤 주변지역으로 확산시킬 만큼 충분한 에너지가 쌓이지 못한 결과가 아닌가 한다. 즉 모심는소리의 미발달은 시간과 여건의 결핍 때문일 것이다.
    모심는소리를 생성시킨 이앙법이 조선후기부터 시작되었다. 그런데 20세기부터는 예기치 못한 일제강점기가 시작되어 일본식 개량농법이 강제되었다. 모심는소리가 확고하게 정착되지 못한 상태에서 일본식 신기술의 도입으로 모심는소리와 노동방식의 부조화가 초래된다.
    이때 이앙법 만큼이나 변곡점이 농법이 손모(벌모, 허튼모)에서 줄모(정조식)로 전환한 것이다. 재래식 모심기는 소규모가 임의대로 가능했지만 개량식은 대규모가 일사분란한 동작의 통일을 요구하였다. 결국 개량식 모심기는 모심는소리와 노동방식의 부조화를 일으켰고, 이로 인해 모심는소리가 이른 시기에 정체 혹은 소멸됨으로써, 논매는소리에 비해 모심는소리의 미발달을 초래한 원인이라는 견해가 본 연구자의 판단이다.

    영어초록

    ‘Mosimneun sori’ (songs to encourage farmers planting rice seedlings) is found scarcer than weeding songs. Previous studies show the same results that the kinds of ‘mosimneun sori’ are 11 or 19 at best nationwide. Compared to 202 weeding songs, the number of planting songs is quite small. Then, why is the number of ‘mosimneun sori’ so small? To find out the reason of its scarcity, this study examines the ‘mosimneun sori’ of Jeonbuk area. There are four planting songs collected in Jeonbuk area. However,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ey didn’t originate from this region. One is found to be the weeding song of a field or a rice paddy; some regions received the song of an adjacent province as it was; some used mixed songs while exchanging influences with neighboring regions; and the last one was ‘nongbuga’, ‘a farmers’ song’ that became popular after being received into a pansori. What would the aspects of those ‘mosimneun sori’ like to tell? Folk music defines its attributes as ‘continuity that connects the present with the past’, ‘variation that comes out from individual or group creative impulses’ and ‘selectivity of a community that decides various forms’. Thus, for the attributes of folk music to be met, it is necessary to have an absolute time as ‘accumulation of time’. Judging from this definition, the reason that the ‘mosimneun sori’ of Jeonbuk area is not diversified and settled down firmly in certain areas is that there was no enough energy accumulated in this area for it to be created, rooted, and expanded into other areas. In other words, ‘mosimneun sori’ was not advanced here in this area because of the lack of time and suitable conditions.
    Rice transplanting method that produced ‘mosimneun sori’ was begun from the late Joseon. However, unexpectedly, a new Japanese style of farming was forced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hen the Japanese government began to rule the Korean Peninsula. When the Japanese method was introduced while ‘mosimneun sori’ hadn’t been settled down, there was severe incongruity between the song and labor. In addition, another factor as much important as transplantation was the inflection point where the rice seedling planting method changed from random to guide line planting. While traditional rice seedling planting was done in a small scale, thus random style work. However, the improved style was applied to large scale farming, requiring fast and accurate movement of farmer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at the new style of rice seedling planting caused incongruity between the labor songs and planting methods, so ‘mosimneun sori’ failed to advance or ceased to exist in Jeonbuk area in the earlier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