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石邨 尹用求 문인화의 美醜兼備的 神韻美 (Paintings of Seokchon Yun Yong-gu an angle beauty-western spirit’s esthetic personalit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5.12
24P 미리보기
石邨 尹用求 문인화의 美醜兼備的 神韻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29호 / 5 ~ 28페이지
    · 저자명 : 김명주

    초록

    이 논문은 朝鮮末期 當代의 碩學이자 名筆家로 명성이 높았던, 石邨 尹用求의 문인화 중 일부를 美醜兼備的 神韻美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石邨은 朝鮮末期 혼란한 시대에 현실적인 名利에 연연하지 않고 時宜에 따를 줄 아는 時中의 태도와, 義를 중히 여기고 利를 중히 여기지 않는 士大夫적 삶을 살았다. 이러한 그의 자존적 節義와 일제에 대한 저항의식은 그의 書畵에 投影되어 나타나고 있다. 神韻은 대상에 대한 감정이 작가의 예술정신인 사상적 意와의 소통을 통해 드러내는 傳神의 결과물이다. 작가는 이런 신운을 통해 작가 자신의 예술적 영혼을 구체적인 작품으로 구현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神韻의 風格은 石邨의 문인화에서는 怪石과 蘭을 통해 표현되었는데, 그 근간에 發憤著畵 의식이 자리 잡고 있다. 이와 같은 發憤著畵 의식은 그의 회화세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美醜兼備的 神韻美로 나타난다. 石邨의 美·醜 兼備的 神韻美가 담긴 회화 작품은 義와 仁을 삶의 바탕으로 하여 살아온 그의 의리사상과 관계가 있다. 石邨의 문인화는 簡易하게 이루어진 簡筆이지만 그 發憤은 절절하다. 石邨은 나라 잃은 슬픔 즉, 내면의 毅氣를 그의 玄色의 먹빛과 함께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의 怪石圖는 항상 변하지 않는 돌의 성질을 이용하여 조선민족 자존의 항상성을 나타내고, 돌의 항상성과 毅氣를 추하게 표현함으로써, 그 굳셈을 더 강하고 확실하게 표현하고자 하였다. 石邨은 자신에게 내함 되어있는 내면의 氣를 毅氣의 神韻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는데, 이것은 일제의 만행을 단칼로 베어내고 싶은 조선 선비의 자존심이다. 또한 倒垂蘭은 忠節과 仁義로서 지조와 절개를 지키고자 했던 石邨 자신의 절규요, 정신이자, 조선의 高古한 울부짖음을 형상화한 것이다. 한 조선선비의 침통한 마음을, 뿌리를 하늘로 치켜세우고 바닥으로 떨어지는 蘭과 대나무에 표현한 것은 石邨 자신의 自畵像이기도 하다. 이처럼 石邨의 發憤著畵의 회화세계에는 遷想을 통한 妙得의 경지가 담겨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to examin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paintings and writings of Seokchon Yun Yong-gu (石村 尹用求, December 13th, 1853 – 1939), a great scholar and a famous, master calligrapher in late Joseon.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done on Yun Yong-gu and assessments on him in each study differ as well. In the year of 2011, however, he was evaluated as the last scholarly painter of Joseon; a politician with royalism and; a great man who lived a life of a hermit in time of anarchy and the fall of nation. He is also considered as one of four figures of Daehan Empire (帝國四家) which include; Min Young-hwan (閔泳煥, 1861-1965) who committed suicide for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乙巳勒約) and the exiles Min Young-ik (閔泳翊, 1860-1914) and Lee Hoe-young (李會榮, 1867-1932). The four figures become five with the militiaman Kim Jin-woo (金振宇, 1883-1950), in which Yun Yong-gu is also included.
    His such self-reliant fidelity and resistanc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is well displayed on his paintings and writings.
    His literary paintings also present images full of sorrow for collapse of nation with honest and manly taste of righteousness. In other words, his drawings such as bizarre stones and upside-down bamboo and orchid out of unbearable resentment are expressions of sadness of losing his state with a sharp knife and graveness of stone and Seokchon himself sublimated his frustration of chivalrous spirit to beauty of ugliness along with high level of message and strong cry for his own creed. In addition, he diversely used orchid and rocks and bamboo painted with Chinese ink for his materials as he symbolized the coming end of the nation's critical situation with orchid which barely clung to a rock. He scolded stupidity of people who were blinded by worldly desires with angry goblin's looks and yearned for saving the country with sprout coming out from the top of a stone.
    Not obsessed with practical fame or wealth but armed with fidelity spirit which put emphasis on righteousness, not on benefits, Seokchon Yun Yong-gu practiced justice with Confucian ethics and lived a life as a nobleman in the chaotic, late Joseon through leading a movement for saving the nation, etc. His such life is thoroughly expressed in his paintings and writings.
    He always demonstrates chosun nation’s confident homeostasis by using unchanging rock’s characteristics. By presenting rock’s homeostasis and spirit wildly, he tried to present the confidence stronger and more wildly.The picture of strange rock represents Chosun scholar’s confidence to cut off the Japan’s brutality. His works such as strange rock, black bamboo, black orchid shows the spirit of the nation, meaning demonstration of anger by picture.
    So Seok Chon’s resistance toward Japan, showing up anger, spirit and confidence are represented as pretending to be beautiful exist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