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물가자미, Eopsetta grigorjew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Shotted Halibut, Eopsetta grigorjewi in the West Sea from Korea)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4.02
7P 미리보기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물가자미, Eopsetta grigorjewi의 식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류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어류학회지 / 36권 / 1호 / 77 ~ 83페이지
    · 저자명 : 최동혁, 윤병일, 이수정, 한경호, 권대현

    초록

    이번 연구는 서해에 서식하는 물가자미의 식성 및 섭이 특성을 밝히기 위해 419마리 중 공위를 제외한 125개체를 분석하였다. 물가자미의 주 먹이생물은 새우류와 어류로 나타났으며, 새우류 중에서는 마루자주새우가, 어류에서는 멸치와 까나리를 가장 많이 섭식하였다. 계절적으로는 서식해역에 풍부한 먹이생물을 주 먹이생물로 섭식하는 기회주의적 섭식자로 나타났으며, 체장이 커질수록 먹이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새우류에서 어류로 주 먹이생물을 변화시켰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the fish community structure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ES1~ES3) and Gwangyang Bay (ES4~ES8). Surveys were conducted at eight points between May and September from 2020 to 2021. A total of 5,111 fish were collected, representing 42 families, 68 genera, and 78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collected during the survey period were Pennahia argentata, with 2,370 individuals and a relative abundance of 46.4%. Also, as a subdominant species, Nuchequula nuchalis, 1643 individuals were caught, accounting for 32.1% relative abundance. According to Bray-Curtis similarities, observa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fish community composition, and they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brackish water areas, coastal areas, inner areas, and outer areas. Group 1 mainly consisted of fish inhabiting freshwater and brackish water areas, while group 3 exclusively contained fish living in marine waters. ANOSIM(Analysis of Similarity)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OSIM R=0.783, p=0.001) between Group 2 and Group 3, and the species contributing to these clusters were P. argentata and Muraenesox cinereus. The study demonstrated spatial changes in the fish community structure from the Seomjin River estuary to the outer coast.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long-term monitoring of major species that exhibit spatial variations, serving as essential foundational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economically significant fish spe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어류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