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미전체(眉篆體) 형성과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MiSoo HeoMok’s proper typeface(미전체))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3.06
39P 미리보기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미전체(眉篆體) 형성과정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 예술연구 / 21권 / 21호 / 321 ~ 359페이지
    · 저자명 : 이인용

    초록

    미수(眉미수(眉叟) 허목(許穆, 1595∼1682)은 예(禮)에 있어서는 엣 경전에 따른 고례(古禮)를 중시하였으며, 학문에 있어서는 하, 은, 주 삼대(三代)의 육경(六經)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글씨 또한 삼대(三代)의 고문을 추구한 상고주의자(尙古主義者)였다.
    시대적으로는 양난(임진왜란, 병자호란)의 혼란과 사색 당쟁의 격변 속에서, 요순시대를 정치현실에 재현하고자 하는 유토피아적 인물이었다. 사상적으로도 유학의 해석에 있어서 정주(程朱)의 해석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점을 삼대의 문물과 제도에서 해결점을 찾고자 하여, 경세치용학파(經世致用學派)라는 남인실학파의 초석을 마련한 인물이다.
    서예사적으로 볼 때 그의 정치적 이상과 사상적 학문 연구의 결과가 미전체라는 창신적 서체개발의 형성과정을 연유한다고 볼 수 있다. 전서를 통해 그가 끝내 이루고자 했던 삼대시대의 치도(治道)를, 문자, 서법을 통한 재현이었다. .
    1660년 그가 삼척부사(三陟府使)로 좌천 부임(1660)되었을 때 세운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는 미전체의 대표적 묵적이다. 한편 미전체 형성에 많은 영향을 준 낭선군 이우를 통해 접한 청(淸)의 묵적「형산신우비」가 위작의 논란을 겪음으로, 허목의 미전체에 관한 평가도 엇갈리는 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이러한 문제는 후학들이 계속 연구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서체의 창신은 높이 평가받아야 할 점이다. 그런 의미에서 논문 말미에 발표한 심일종 연구가의 소장 자료「과두전(蝌蚪篆)」이 삼척지방에서 발견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성과이다. 미전체가 허목 한 사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엽적인 한계를 넘어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는 서체(미전체)의 학습과 계승으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叟) 허목(許穆)의 미전체(眉篆體) 형성과정에 관한 고찰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and scholarly achievements of Misu Heo Mok (1595-1682), a unique process of formation that represents the world of Dharma and Divine Art based on his Buddhist ideas. Heo Mok was a literary scholar who was active in the early years of Sukjong in Hyeonjong of the Joseon Dynasty, and was a political representative of the South, and a calligrapher created a unique calligraphy called Mijeon.
    Heo Mok was an appellate who valued the ancient scriptures according to the Et scriptures in his studies, and in his learning, he studied deeply the Six Sutras of the Three Generations(하·은·주) of the Lower Zhou, and he was also an Sanggoist. Heo Mok entered public office at the age of 60, his time in politics was only a short time, and he spent most of his time wandering around the famous mountain, admiring the ruins and famous writings, awakening his creative artistic spirit. Through Heo Mok's representative poetry collection "Kieon(기언)", one can understand his calligraphy, His study style, and his classical studies, the study of letters, and the course of writing. Through his laborious writings such as "Torture Unbu(고문운부)", "Torture Rhyme(고문운률)", and "Geumseok Unbu(금석운부)", we can not only examine his academic passion, but also contribute greatly to the study of paleographics. Through his ancient literature, he endeavored to reproduce in reality the Three Generations of govern well, which was the ideal era of China, and he also tried to find solutions in the three generations of cultures and institutions that were difficult to solve with the interpretation of Zhengzhou(정주) in the interpretation of study abroad ideologically. ught to torture the three generations of writing.
    The study of letters was the same, and Heo Mok tried to express the most undistorted nature's logic based on a pure and idealistic spirit through classical texts based on ancient texts. This was a method of reproducing the discipline of the three eras, which Heo Mok wanted to achieve, through letters and calligraphy. This passionate process of researching ancient literature based on Heo Mok's archaic thinking and exploring the calligraphy of the ancestors is the process of formation that creates Heo Mok's unique aesthetic whole that no one can touch. This implied a critical view of the trending style of calligraphy returning to Wang Xizhi, such as Songseol(송설) and Seokbong(석봉) in the Joseon Dynasty at the time.
    On the other hand, <Cheokjudonghaebi(척주동해비)>, which was created when Heo Mok was relegated to Samcheok prefecture (1660) due to a factional fight, is his representative silent book. It was also called a tombstone because it was a mysterious tombstone with the ability to ward off tides. Heo Mok's unique and creative aesthetic whole can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natural disasters of the time that appeared in <Cheokjudonghaebi>, the crystallization of research and innovation of Hau (夏禹) style, When looking at how academic aspirations have reached the stage of touching heaven and earth, not only the external form of letters is important. It can be seen that the importance of the spirit contained in the sentence is emphasized once again.
    I think the discovery of oligarchic wars is very meaningful. This is the reason why it was regarded as a signal of hope that Mijeon will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centering on the Samcheok region, rather than just being an empty person. It is also hoped that it will lead to the succession of typefaces that transcend the local limits and transcend the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 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