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성물성동이논변의 인성교육적 함의 (Implication for Humanity Education of 'The Debate on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8.03
28P 미리보기
인성물성동이논변의 인성교육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도덕교육연구 / 30권 / 1호 / 45 ~ 72페이지
    · 저자명 : 이은경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인성물성동이논변의 인성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데 있다. 한원진의 이론과 이간의 동론은 모두 중층구조―理와 만물, 또는 실재와 외양―를 인정한 것처럼 보이지만, 이론은 보편자를 특수자로 환원시킴으로써 ‘위층 없는 아래층’만을, 동론은 보편자를 특수자와 분리시킴으로써 ‘아래층 없는 위층’만을 말한다는 점에서, 엄격한 의미에서의 중층구조에 미달한다고 말해야 한다. 그때, 동론과 이론은 서양의 보편논쟁에서의 실념론과 유명론이 저지른 오류를 저지를 수밖에 없다. 즉, 실재와 외양의 차이만을 강조하여 말하게 되면 외양이 실재로 나아갈 ‘현실적 가능성’이 차단되며, 실재와 외양의 동일성만을 강조하여 말하게 되면 우리가 나아가야 할 ‘이념적 지향성’이 사라지게 된다.
    스피노자 윤리학은 실념론과 유명론 사이의 팽팽한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동론과 이론의 제3의 종합으로서의 대안적 관점을 시사한다. 이것은 인성교육이론으로서의 인성물성동이논변이 나아가야 할 전망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mplication for humanity education of 'The debate on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人性物性同異論辨), arose between Han Won-Jin(韓元震) and Yi Gan(李柬) both of whom were disciplines of Kwon Sang-Ha(權尙夏), were the most distinguished and leading scholar in the debate. The debate dealt with two main questions. The one is whether human nature is similar to that of things such as animals and trees, and the other is whether there is good and evil in Unaroused(未發).
    The central concepts of the debate are Nature(性) and Unaroused(未發). Unaroused(未發) is important concept to clarify the status of Nature(性) in the neo-Confucian theory of human mind-nature(心性論). The point of the debate is whether Unaroused Nature is standard(大本) of emotions(情) which are aroused. Both of them commonly agree that there is the Substance of real world, i. e. 'One Transcendental Origin'(天理), but dissent from each other whether One Origin is similar to Nature.
    The debate suggests that there can be two kinds of morality, i. e. positive morality and negative morality, and then that two kinds of humanity education can result from them. Positive morality can be regarded as 'the final aim' of moral practice, which is determined before practice and leads practice. But negative morality can be regarded as 'the ideal form', which is realized imperfectly in our life and must be established as 'aroused standard' through practice. The former humanity education focused moral action to be agreed with norms, the latter focused mind to be agreed with One Origin or G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덕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