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물환경법제의 최근 동향과 쟁점 (Recent trends and issues in the domestic water environment legislati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0.04
26P 미리보기
국내 물환경법제의 최근 동향과 쟁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법연구 / 42권 / 1호 / 1 ~ 26페이지
    · 저자명 : 김도형

    초록

    국내 물환경법제는 1963년 11월 「공해방지법」과 1977년 12월 「환경보전법」으로 시작되었다. 특히 수질의 관리・보전과 관련하여서는 1990년 8월에 제정된 「수질환경보전법」이 2007년 5월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2017년 1월 「물환경보전법」으로 개정되면서 지속적으로 변화, 발전되어 왔다.
    이후에 2018년 1월 현행 「물환경보전법」이 시행되었는데, 동법에서는 ‘물환경’이란 “사람의 생활과 생물의 생육에 관계되는 물의 질(이하 “수질”이라 한다) 및 공공수역의 모든 생물과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비생물적인 것을 포함한 수생태계(水生態系)를 총칭“하여 말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수질 관리・보전의 대상 및 범위가 기존의 ‘수질’과 ‘수생태계, 즉 생물’뿐만 아니라 비생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물환경’ 전반으로 확대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2018년 6월 ‘물관리일원화’의 시행으로 인해 「물관리기본법」이 제정되고, 「수자원법」 등 수자원 관련 법이 환경부로 이관되는 등 기존 물환경법제의 체계에 큰 변화가 있었다.
    이에 본 글에서는 ‘물관리일원화’ 등 국내 물환경법제가 큰틀의 변화를 맞이하고 있고 그 제정・시행이 30여 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 국내 물환경법제의 제・개정 연혁과 「물환경보전법」의 기본체계 및 물환경법제의 최근의 동향과 쟁점 등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물환경보전법」은 그간 수차례의 제・개정을 통해서 수질의 관리・보전을 위한 그 대상・범위 등의 확대 및 미비점이 개선・보완되는 등 법적 안정성이 높아졌고, 물환경보전에 관하여는 기본법과 유사한 지위를 가지는 등 물환경, 특히 수질의 관리・보전에 관해서는 종합적・체계적인 형태의 법제로서 발전한 것이라 평가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향후 국내 물환경법제의 발전을 위해서 「물환경보전법」은 현재 법률의 운영상 나타나는 미비점을 개선・보완하고 다른 법률과의 관계 및 정책・제도 등과의 정합성을 제고 하는 등 완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법률을 개정하는 것을 입법방향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domestic water environment legislation began in November 1963 with the 「Pollution Prevention Act” and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in December 1977. In particular, regarding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water quality, it has been systematically changed and developed as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enacted in August 1990 was revised to the 「Water Quality and Water Ecosystem Conservation Act」 in May 2007, and the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in January 2017.
    Subsequently, the current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as implemented in January 2018. In the Act, “water environment” refers to “water qua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ter quality ”) related to human life and the growth of living organisms and all living organisms in public waters. And the aquatic system including the abiotic things surrounding them. It can be said that the target and scope of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conservation have been expanded to the entire ‘water environment’, which includes both non-living organisms as well as the existing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s, i.e. living organisms’.
    Meanwhile,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Unification of Water Management’ in June 2018, the 「Water Management Basic Act」 was enacted, and water resource related laws such as the 「Water Resource Act」 were transferred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article, domestic water environment legislation such as ‘unification of water management’ is undergoing a major change, and the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and amendment of the domestic water environment legislation and the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has been over 30 years since its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The basic system and recent trends and issues of the water environment legislation were reviewed in general.
    As a result, the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has increased legal safety by expanding and revising its targets and scopes for managing and preserving water quality and improving and supplementing water quality through several revisions and revisions. It could be evaluated that it developed a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form of legislation regarding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water environment, especially water quality, such as having status similar to the basic law.
    In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the water environment legislation in the future, the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is aimed at improving and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that appear in the operation of the current law, and improving the integrity of relations with other laws and policies and systems. I would like to propose amendment in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경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