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탄핵심판제도의 입헌 취지 및 심리 방향성 소고- 노무현 대통령 탄핵심판사건 결정문을 소재로 - (Constitutional Meaning of the System of Impeachment and Strategy of Reasoning of Constitutional Court - Focusing on the President Roh Impeachment Case(Hunjae 2004.05.14., 2004Hunna1)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7.01
33P 미리보기
탄핵심판제도의 입헌 취지 및 심리 방향성 소고- 노무현 대통령 탄핵심판사건 결정문을 소재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7권 / 1 ~ 33페이지
    · 저자명 : 김용훈

    초록

    국회의 대통령에 대한 통제 수단 중 주요한 것은 탄핵심판제도이다. 형사소송절차 등의 일반적인 수준의 사법절차에 기하여 처벌하거나 혹은 일반 징계절차에 의해서는 엄격한 징계가 부과되는 것이 곤란한 고위공직자의 경우에는 국회의 수준의 보다 효과적인 통제제도가 요구되는 것인데 당해 제도가 바로 탄핵심판제도인 것이다. 특히 당해 탄핵사유는 헌법 상 ‘직무집행에 있어 헌법과 법률에 위배’이다. 따라서 문리 해석을 통하여 당해 조항을 해석한다면 상 대통령 등의 고위공직자는 중대한 위헌 또는 위법행위를 하게 된다면 자동적으로 탄핵심판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헌법재판소의 견해는 헌법 및 법률 위배의 ‘중대성’이라는 별도의 요건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과거 노무현탄핵심판 사건에서 헌법재판소는 법익형량의 원칙을 고려하여 “헌법재판소법 제53조 제1항의 ‘탄핵심판청구가 이유 있는 때’란, 모든 법위반의 경우가 아니라, 단지 공직자의 파면을 정당화할 정도로 ‘중대한’ 법위반의 경우를 말한다.”라고 선언을 한 바 있다. 당해 중대성에 대한 요건을 법익형량의 관점에서, 즉 인용시 효과를 고려한 판단을 하고 있는 것이다. 당시 정치적 논쟁을 잠재웠다는 점에서 당해 결정의 의의를 찾을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후 상당한 정도의 비판에 직면했다는 점에서 적절한 논거 제시를 통한 면밀한 논증을 수행하였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따라서 헌법재판의 정당성에 대한 끊임없는 논쟁이 존재하고 있는 작금의 상황에서 그와 같은 논쟁을 불식시키고 사회적 합의를 정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헌법재판소 자신이 자신의 판단 과정의 논리성을 보다 보완하여야 한다. 과거 줄곧 헌법재판소가 헌법 규범간 우월을 인정하지 않았다는 점과 헌법과 법률은 그 규범적 위상과 효력이 상이하다는 점에서 ‘중대성’에 있어서의 해석과 처리에 있어서도 보다 면밀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보인다. 다시 말해 중대성의 처리에 있어 헌법 원리에 대한 위배의 중대성과 법률 수준에서의 위배의 중대성은 그 처리를 달리하여야 할 것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민주주의 및 법치주의 원리 등의 위배 자체가 중대한 위배라고 보아야 할 것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법률 간 그리고 구성요건 행위 유형 간 그 중대성 판단을 달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important system is impeachment system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primary regulating systems in the level of the presidential system. Since it is highly difficult to punish high ranking officials based on the ordinary judicial system such as the criminal procedure system and usual disciplinary actions etc. The same can be said about the President. In particular, korean Constitution stipulates the ground for impeachment as ‘the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or other Acts in the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Therefore if such a constitutional provision is to be interpreted on the ground of the grammatical interpretation, the President is obliged to be removed if he or she violate the Constitution or other acts regardless of the seriousness of the violations. However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developed additional ground - gravity. In particular,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declared that “An impeachment by the Congress ought to be confirmed only in case that the President violates the Constitution or other Acts gravely enough to rationalize the removal of office of the President.” Thus it is postulate to reason that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made a judgement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results brought about by decision of approval in terms of balancing of legal interests. It is true that the decision put political vortex quiet those days, but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faced a great deal of critical arguments as well in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was not able to demonstrate the significant points throughout appropriate arguments.
    Thus as there are incessant disputes over the legitimacy of the Constitutional Adjunction, it is up to the Constitutional Court to supplement its own logic in each cases for the sake of getting over such disputes above and enhancing social agreemen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confirm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each constitutional provisions and that the Constitution and the legislations are different each other in the normative status and effect. Thus the Constitutional Court is required to analyse more logically in interpreting and dealing with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 gravity. In other words, it is appropriate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shall deal with differently between the gravity of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and that of the legislative provisions when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reason that the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such as the principle of democracy and rule of law mean the grave violation in the case of the former and that it is probable that degree of gravity is can be different among the each behaviors in the case of lat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