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천교의 교리적 지식의 유통과 수용 양상 『시천교월보』의 순한글문을 중심으로 (Patterns of Knowled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the Doctrines of Sicheongyo: Focusing on the Pure Korean Texts in Sicheongyo-weolbo)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5.03
28P 미리보기
시천교의 교리적 지식의 유통과 수용 양상 『시천교월보』의 순한글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 수록지 정보 : 차세대 인문사회연구 / 22호 / 109 ~ 136페이지
    · 저자명 : 이원섭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동학 교단인 시천교(侍天敎)의 교리적 지식이 교단 잡지인 『시천교월보』의 순한글문을 통해 어떤 내용과 방식으로 유통되고 교인들에게 수용되는지에 주목하였다. 시천교월보의 순한글문은 논설, 소설, 강연, 사조 등 다양한 양식으로 게재되었으며, 기고한 저자 또한 교단의 지도자층을 포함하여 지방의 거주하는 교인, 순회교인 등 다양했다. 교단이 기치를 내세우고자 하는 논조에 따라 순한글문의 주제가 선정되기도 한다는 점은 대다수의 교인들을 대상으로 교단이 원하는 교리적 지식이 전달되도록 의도되었음을 보여준다. 시천교의 교리적 세계관은 『시천교월보』 창간호에 실린 「전도문」을 통해 우주관, 신관, 인간관, 목적관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순한글문에는 이러한 교리적 지식이 수용되어유통되었다. 순한글문의 내용을 종합하여 분석했을 때, 교리적 지식이 수양의 측면에서 구체화되어 수용되었음이 포착된다. 하나님을 내 몸에 모셨다는 ‘시천(侍天)’의 이해가 모든 수도행위의 전제가 되는 핵심 지식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수명복록을 받기 원하는 교인들에게 여러 방식의 수도법이 권면되었다. 특히, 부인들이 정성을 다한 수도를 통해 수명복록을 받는효험을 체험한 이야기의 형태가 다수 게재되었다. 시천교인들의 수도는 윤리적 차원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일상 속에서 행하는 수도법은 결국 기존 관념으로 실천했던 종교적 행위들을 끊어내게 만들었다.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이와 같은 주제들은 모든 교인들을 독자로염두에 둔다. 순한글문 양식은 바로 이러한 목적에 맞게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how doctrinal knowledge of Sicheongyo (侍天敎), a Donghak-affiliated religious order in the 20th century, was disseminated and received by its followers through the pure Korean texts published in the Sicheongyo-weolbo (侍天敎月報). The pure Korean texts in this bulletin were pres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editorials, novels, lectures, and opinions, and the contributors ranged from the leadership of the order to local members and itinerant preachers. The selection of topics in the pure Korean texts was often influenced by the doctrinal direction that the order sought to promote, indicating that these writings were intended as a means to convey the doctrinal knowledge desired by the leadership to the majority of its followers. The doctrinal worldview of Sicheongyo was elaborated through themes of cosmology, theology, anthropology, and teleology, as explained in the “Proselytizing Text” (「傳道文」) published in the first issue of the bulletin. Such doctrinal knowledge was disseminated and received through the pure Korean texts.
    An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se texts reveals that doctrinal knowledge was primarily received and understood in relation to self-cultivation. The concept of ‘Sicheon’ (侍天), or the idea of ‘serving God within oneself,’ was recognized as the core knowledge underpinning all ascetic practic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various methods of ascetic practice were recommended to believers seeking longevity and blessings (壽命福祿). Notably, numerous stories were published about women experiencing the efficacy of these practices through devoted spiritual discipline. The ascetic practices of Sicheongyo were deeply connected to ethical dimensions and encouraged the abandonment of previously held religious behaviors. These themes, closely linked to daily life, were intended for all followers of the faith. The use of pure Korean texts proved to be an effective means of achieving this go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차세대 인문사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