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숨기는 힘, 숨은 역량: ‘내조’의 경계 해체와 여성 존경 언어의 회복을 위하여 - 18세기 조선의 ‘문(文)’ 양식에 나타난 여성의 자품(資稟) 수사 재성찰 (Hiding Power and Hidden Potentiality: Restructuring of Women’s Social Role for Recapturing Respectable Language for Woman: Reflecting the Rhetorics of Women’s Personalities and Capabilities during th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7.05
40P 미리보기
숨기는 힘, 숨은 역량: ‘내조’의 경계 해체와 여성 존경 언어의 회복을 위하여 - 18세기 조선의 ‘문(文)’ 양식에 나타난 여성의 자품(資稟) 수사 재성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75호 / 261 ~ 300페이지
    · 저자명 : 최기숙

    초록

    이 논문은 ‘현모양처’ 담론과 더불어 조선시대 여성 담론의 우위를 차지하는 ‘내조’라는 어휘가 조선시대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대변하는 것으로 인식됨에 따라, 여성을 남성의 역량강화를 위한 보조자로 한정하거나, 혼인 가정 내의 역할로 규정하는 역할을 했다는 관점에서,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정 구조를 드러내는 자품(資稟) 수사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했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의 남성 문인이 작성한, 이른바 ‘생애성찰적 글쓰기’에 해당하는 18세기 전장류(傳狀類), 비지류(碑誌類), 애제문(哀祭文) 및 동 시기의 여성 문인의 ‘문(文)’ 양식을 중심으로, 여성의 자품 수사를 분석하고, 그것이 결코 ‘내조’라는 어휘의 의미망 안에 수렴될 수도, 한정될 수도 없음을 논증했다.
    이를 위해 첫째, 여성의 탁월성, 가치를 존중하는 ‘인정구조’ 속에서 통용된 여성 호칭, 둘째, 여성의 인격과 역량, 자질을 형용하는 자품 수사의 실상과 젠더 경계, 셋째, 남성을 차용한 여성적 자품 수사의 실상을 고찰했다. 그 결과 오늘날 어휘적 차원에서 조선시대의 젠더 차이를 보여준 것으로 간주된 상당부분이 젠더 경계를 넘나들며 활용되었음을 논증했다.
    또한 여성의 ‘내조’에 대한 실질적 함의가 보조자가 아니라 권면과 격려, 지지의 감성 동력이며, 이는 감정이 아니라 성찰성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실제로 여성들은 삶의 현장에서 남성, 가족, 가문을 이끄는 상담자, 조언자, 훈계자, 엄사(嚴師)로서의 역할을 했고, 이를 당대적으로 인정받았다. 여성이 자녀를 양육할 때에도 신체적, 생물학적 성장 관리 이외에 교육 철학의 영역을 담당하는 스승의 역할을 수행했음을 해명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rhetoric of women’s personality and nature for reinvestigating the semantics of the terms of ‘wife’s assistance’ in the 18th-Joseon period, the most influential words with the discourses of ‘good wife and wise mother’, with the genre of ‘life reflective essays’ as genres of biographies, epitaphs, and funeral orations, etc., which were written by male elites, and women’s writings. Through these analysis, I demonstrate that the word of ‘wife’s assistance’ can’t encompass sufficiently various words of women’s personalities and nature in late Joseon period.
    For this, it researched three dimensions as follows; the first, addressing way of women with recognizing their distinctive qualifications and values. The second, gender difference between personality, capacity and qualification at the linguistic level, a pragmatic semantics. The thirds, the practical usage of women’s personalities which are applie to men’s rhetoric. As a result, it indicated that most parts of rhetoric words were borderless used in gender, different from contemporary guess.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term of wife’s assistance is implied not to assist or aid, but to encourage and support. These are linked with affective power which are rooted in reflectivity on human being and life, not only in emotion. In a field of daily life, women played roles as consultants, advisers, mentor, strict teachers who influenced on their husbands and led famiies, and also achieved recognition this from contemporary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