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간행 『中庸或問』 및 『中庸章句大全』 주요 板本分析 (An Experimental Study for Analyzing the Edition on Zhongyounghouwen(中庸或問) and Zhongyoungzhanggudacuan(中庸章句大全) in the Chosun Dynasty er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8.06
26P 미리보기
조선시대 간행 『中庸或問』 및 『中庸章句大全』 주요 板本分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22호 / 195 ~ 220페이지
    · 저자명 : 전재동

    초록

    이 논문은 조선시대에 간행된 『中庸或問』과 『中庸章句大全』의 주요 간본을 형태서지적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四書五經大全은 1416년 경 조선에 유입되어 官學의 교재로 채택되고 과거시험의 자료로 활용되었기 에 그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四書五經大 全에 대한 연구는 諺解, 栗谷學派의 小注비판 등 조선 중~후기에 치중 되어 있었으며, 조선전기의 실정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본 논문은 조선시대에 간행된 四書五經大全의 전수 조사를 위해 중용 관련 자료에 한정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中庸或問』 및 『中庸章句大全』 등 중용 주석서가 다른 자료에 비해 시대별로 골고루 남아 있어 비교, 분석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中庸或問』 관련 주석서는 倪士毅의 『中庸輯釋』을 대본으로 하였으며, 이 책은 1371년 晉州牧에서 이미 『中庸朱子或問』으 로 간행되었다. 15세기에 금속활자로 간행된 『重訂中庸輯釋通義大成』 또 한 예사의가 편집한 텍스트에 명대 학자들의 주석이 덧붙여진 것이다. 『 中庸章句大全』은 당초 3권 3책으로 간행되었으나, 조선에 유입된 이후 1 책으로 재편성되었다. 조선 후기에 3권 3책으로 간행된 판본이 나오긴 했지만, 분책되지 않고 합책되었다. 『中庸或問』과 『中庸章句大全』은 16세기에 이르러 언해가 완성되고 내 용 분석의 수준이 심화됨에 따라 小注의 일부가 삭제되기 시작했다. 이 는 조선왕조실록, 柳希春의 『眉巖日記』 등의 기록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시기별 간행 자료의 내용 비교는 추후의 과제로 남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major publications of Zhongyounghouwen(中庸或問) and Zhongyoungzhanggudacuan(中 庸章句大全) published during the choseon Dynasty from a bibliographic perspective. Saseodaejeon(四書大全) entered Chosun in 1416, and adopted it as a textbook to teach students in the national education geek. Soon after, This book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was adopted in the past test. However, the research so far has focused on the analysis of Korean translations, small annotations of some school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us, the research on the various editions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was relatively inadequ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primary goal to investigate the medieval commentary published during the Choseon Dynasty. This is because the FourBook(四書) commentary on medial use is varied in a Zhongyoun(中庸). In the Choseon Dynasty, the most important source is Zhongyoungjishi(中庸輯釋) by Nishiyi(倪士毅). This book has another name, ZhongyounZhuzihuawen(中庸朱子或問). This book was already published in 1371 as a woodblock in the Jinjoo. ChongdingZhongyoungjishitongyidacheng(重訂中庸輯釋通義大成)was published in metal form in the fifteenth century, and this book adds the theory of Ming scholars to the doctrine of transcription. By the 16th century, this Zhongyounghouwen(中庸或問) and Zhongyoungzhanggudacuan(中庸章句大全) had begun to be deleted as the translation of the Korean version was completed and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e book increased. This situ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data such as Chosun Dynasty Annals and Miam Diary(眉巖日記) by Yuheicho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several books is left as a task of the lat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