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효의 『二障義』 <顯了門>에 나타난 해석상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the Exoteric Interpretation (顯了門) in Wŏnhyo’s Ijangŭi)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7.08
33P 미리보기
원효의 『二障義』 &lt;顯了門&gt;에 나타난 해석상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47호 / 125 ~ 157페이지
    · 저자명 : 안성두

    초록

    이 논문은 원효의 중기 저작인 『이장의』의 <현료문>에 나타난 저작상의 특징을 탐구한 것이다. 『이장의』는 <은밀문>에 의해 번뇌에 대한 『기신론』의 사상적 관점을 보여주고자 하며, <현밀문>에 의해서는 『유가론』 등에 나타난 초기유식의 번뇌설을 보여준다. 이 논문이 <은밀문>의 설명보다 <현료문>에 나타난 원효의 이해에 보다 더 주목하는 이유는 그의 설명이 현장 문하의 학승들에 의해 편찬된 해설서보다 시기적으로 앞선, 현장 역서에 나타난 신유식 사상에 대한 최초의 반응이라는 점에 있다. 본고는 이들 개소의 연구를 통해 원효가 현장 문하의 해석에 의존하지 않고 『유가론』 등의 신역 유식문헌에 대한 독자적 탐구를 통해 인도유식사상을 이해하고 정리하고자 시도했던 사상가였다는 점을 보여주려는 것이며, 이를 위해 그의 독자적 해석의 특징을 다른 주석서와 비교해서 제시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Ijangui, Meaning of the two Hindrances, is an independent work of Wŏnhyo on the system of Hindrances, which was schematized in the Yogācāra texts into two kinds: Hindrance of the defilements (kleśāvaraṇa) and hindrance consisting in the knowable objects (jñeyāvaraṇa). One of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Ijangui lies in the interpretation that these two hindrances are subsumed into the two hermeneutical levels, which represent each other the exoteric level (顯了門) and esoteric level (隱密門) of interpretation of Buddhist thought. For Wŏnhyo, the former represents typical interpretation of the defilements in the indian Yogācāra works, such as the Yogācārabhūmi, and the latter in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such as Śrīmalasūtra and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explanation of the exoteric interpretation in order to demonstrate Wŏnhyo’s independent,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Yogācāra ideas from that of Zuanzang school, particularly on the theme of two hindrances. Judged from the date of its composition around 660, the date derived from the composition of his authentic commentarial works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大乘起信論), namely, 大乘起信論別記 and 大乘起信論疏, we can safely say that it precedes the most influential commentaries in the Zuanzang school. If my understanding is correct, then Ijangui should be evaluated as the earliest systematic response in the East Asian Buddhism to Zuanzang’s voluminous translation of Yogācāra tex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