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應松 「隨緣說法의 諸法門」 考察 (A Study on Eungsong(應松) Jebeopmun of Suyeonseolbeop(「隨緣說法ui 諸法門」))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6.06
24P 미리보기
應松 「隨緣說法의 諸法門」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25호 / 143 ~ 166페이지
    · 저자명 : 김미선

    초록

    본고는 應松 「隨緣說法의 諸法門」의 考察이다. 응송은 13대 종사와 13대 강사를 배출한 대둔사 수행승이었다. 그의 수행과정에서 남겨진 「隨緣說法의 諸法門」의 필사본이 그의 속가 상좌 박동춘에 의해 처음 공개 된 자료이다. 이를 저본으로 응송의 선문자를 고찰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졌음을 밝혀 둔다. 작품의 내용들은 漢詩의 形式的인 측면에서 볼 때, 漢詩라고 명칭 할 수 있는 作詩法의 형식을 갖추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이러한 일면을 수용하여 근현대 佛家에서 漢字로 記錄되어 남겨진 자료를 만나기 드문 상황에 남아있다는 稀少性에 주목하여 응송의 제면모를 고찰하는 일면으로 연구의 가치를 두었다.
    먼저, 「隨緣說法의 諸法門」에 실린 선시에 관한 논의는 아직 이루어 진 적이 없는 내용이기에 우선 「隨緣說法의 諸法門」槪觀을 통하여 필사되어진 내용의 誤謬處에 대해 밝혀냈다. 또한《創作 年代別 分類表》,《作品型式 分類表》로 작품의 창작 년대와 형식 유형을 개관하여 도표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작품 개관을 통해 작품 내용을 고찰함에 있어 1. 隨緣의 不離文字 2. 說法의 不立文字로 분류 하여 그특징을 살펴보았다. 隨緣에 대한 不離文字는 言句에 집착되기보다는 示法을 위한 방편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說法의 不立文字는 傳法하며 언어를 빌어 불립문자의 경지를 표현한 선의 경지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지면상 후고에 미루어 두는 응송 선문자의 특질로 用事性을 조명해 볼 수 있다. 이에 「隨緣說法의 諸法門」에 소록된 작품 내용 고찰을 통하여 應松 禪文字의 位相을 가늠 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Eungsong(應松)'s Jebeopmun of Suyeonselbeop(「隨緣說法ui 諸法門」) consideration(考察). Eungsong[應松(1893∼1990)] is a monk(僧侶) of Daeheungsa temple(大興寺) clan in Haenam(海南) Duryunsan(頭輪山), he participated in independent movement as a modern person. Eungsong was becoming a priest into Daeheungsa temple. The temple released 13 Daejongsa and 13 Daegangsa, which is the place initiative large streaming of Korean Buddhism If Daeheungsa temple's modern Buddhism spirit reckons the genealogy of Bullip letter(不立文字), There are choui(草衣) such as Poetry(詩), Zen(禪), and Tea(茶) and approaches drafts of Zen poems by Eungsong in the genealogy which continued from Beomhae Gakan(梵海 覺岸), Seokjeon Yeongho(石顚 映湖), Manhae Yongun(萬海 龍雲) to Eungsong Park, Yeonghi(應松 朴暎熙).
    This study's research range is based on the draft(底本) of Jebeopmun of Suyeonseolbeop (「隨緣說法ui 諸法門」)by Eungsong Park, Yeonghi(應松 朴暎熙). This study is transcribed Eungsong's Zen letter(禪文字) by Park, Dongchun who is the original family head and examined contents by Eungsong. Eungsong's autograph does not confirm presently. This study approached to notify an aspect of consideration in general features of Eungsong through scarcity(稀少性) data which has left uncommon circumstance of recording(記錄)Chinese letters(漢字) in modern Buddhist family(佛家). In this base, Jebeopmun of Suyeonseolbeop(「隨緣說法ui 諸法門」) work piece(作品) surveys(槪觀) numerical order of transcription, by consideration of Eunsong's contents(內容). I'd like to make a guess Eungsong(應松)'s phase which continued and concluded Zen letter(禪文字) spirit in Korean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각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