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문수신앙(文殊信仰)의 유형과 그 특징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anjusri Belief (文殊信仰))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3.06
25P 미리보기
일본 문수신앙(文殊信仰)의 유형과 그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57호 / 149 ~ 173페이지
    · 저자명 : 원영상

    초록

    일본의 보살 신앙은 민간신앙 및 순례문화와 연동되어 일상의 종교로 기능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문수보살에 대한 신앙은 고대에 유입되어 현재에도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고대의 기록인 『칠대사순례사기(七大寺巡禮私記)』에 일본의 승려들이 오대산에 들러 문수신앙을 가지고 입국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 내 본격적인 문수신앙의 시작은 불교의 민간 포교를 행한 교키(行基)라고 할 수 있다. 고대에 설립된 천태종과 진언종, 그리고 당시 나라(奈良)를 중심으로 한 남도(南都)불교도 문수신앙을 확장하는 데에 기여했다. 중세 불교의 토착화와 더불어 이 신앙은 구제의 보살로서 더욱 활성화된다.
    일본 문수신앙의 유형은 첫째, 중국의 오대산 순례는 물론 신앙을 표출하는 도상(圖像)이나 조각이 제작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문수보살에 관련된 여러 경전을 통한 신앙과 수행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정토불교의 발전과 함께 이뤄진 망자(亡者)에 대한 공양이나 보은을 위한 매개체로서의 신앙이다.
    문수신앙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대승불교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사신앙과 일천제(一闡提, icchantika)사상과 관련이 있다. 전자는 일본불교의 특징이기도 한데, 중세에 계율부흥운동을 일으킨 에이존(叡尊)의 교단이 교키를 문수보살의 화신이라고 보고 이를 교화에 활용하였다. 후자는 또한 에이존과 그 제자들이 차별을 받는 하층민을 중생의 모든 고통을 대신 뒤집어 쓴 보살일천제 혹은 대비일천제(大悲闡提)로 보고 그들을 구제했다는 점이다. 계율로써 정법을 보호하고, 문수신앙으로 대비심을 일으키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문수신앙은 일본에서는 현세와 내세의 이익을 위한 신앙으로써 기능하는 한편, 중생의 고통을 해소시키는 불법의 고유한 정신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Japanese Bodhisattva Belief functions as daily religion being connected with folk religion and pilgrimage culture. Among them, belief in Manjusri Bodhisattva has actively been developed until now since it had flown into Japan in ancient times. In 『Childaesasullyesagi (七大寺巡禮私記)』 which is an ancient record, it is thought that Japanese Buddhist monks visited Mount Wutai and entered the country with Manjusri belief. Manjusri belief began in earnest in Japan due to Gyoki (行基) who propagated Buddhism to people. The Tientai Sect and the True-word Sect established in ancient times and Namdo (南都) Buddhism centered in Nara (奈良) at that time also contributed to the extension of Manjusri belief. This belief was more revitalized as Bodhisattva of salvation with the naturalization of medieval Buddhism.
    Types of Japanese Manjusri belief are as follows: First, icons (圖像) or sculptures which express belief as well as Chinese Mount Wutai's pilgrimage were made. Second, belief and ascetic practices through several scriptures related to Manjusri Bodhisattva were done. Third, it is belief as a medium for offering or requital of a favour or grace to the dead (亡者) done with the development of Pure Land Buddhism.
    Above all, the characteristics of Manjusri belief is to inherit the spirit of Mahayana Buddhism. Concretely, it is related to patriarch belief and icchantika (一闡提). The former is also the characteristic of Japanese Buddhism. the Eizon (叡尊) order which started the Sila and Vinaya Revival Movement in the Middle ages regarded Gyoki as the incarnation of Manjusri Bodhisattva and utilized it in the church. As for the latter, Eizon and his students regarded the lower class that was discriminated as Bodhisattva icchantika or the great compassion of Icchantika that took all people's pain instead of them and saved them. It protected the orthodox dharma or teaching as Sila and Vinaya and made people have Mahā-karuṇā with Manjusri belief. Like this, it could be found that Manjusri belief functions as belief for benefits of this world and the next, while it shows the unique spirit of the Buddha-dharma which eases the people's p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