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항목묶음이 인과 모수의 검정과 적합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Causal Parameter Testing and Goodness-of-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7.09
21P 미리보기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항목묶음이 인과 모수의 검정과 적합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과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마케팅과학연구) / 17권 / 3호 / 133 ~ 153페이지
    · 저자명 : 조현철, 강석후

    초록

    본 연구에서는 3개 일반모델(general models)의 실증분석을 통해 항목묶음(item parceling)이 구성개념 간의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모수의 유의성 검정 결과 및 모델의 적합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개별항목을 적용한 분석과 비교할 때 항목묶음을 통한 분석을 적용해도 모델 인과모수의 검정통계량은 그다지 변하지 않으므로 유의성 검정 결과에도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반적 적합도지수의 측면에서는 RMSEA를 제외한 주요 모델 적합도 지수, 즉 GFI, AGFI, CFI 및 NFI의 값들이 상당히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주요 모델 적합도 지수들의 값이 높아진 것은 항목묶음을 이용하여 분석을 한 결과가 개별항목을 통한 분석의 결과에 비해 다변량 정규(분포)성의 개선 등으로 인해 높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항목묶음을 적용함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사항은 적용하기 전에 구성개념의 단일차원성(unidimensionality)을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목묶음을 이용하여 분석을 할 경우 실제 구성개념간의 인과적 관계를 나타내는 모수의 유의성 검정과 모델의 적합도 지수들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 지를 세 개의 일반모델을 대상으로 파악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the consistency of significance testing of the causal parameters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evant constructs. It is also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the goodness-of-fit indices of LISREL's general models. Most researchers u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test their research hypotheses associated with the causal parameters. We investigated three general models of LISREL rather than the frequently used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CFA) models used by many resear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level of consistency in the calculated test statics of causal parameters between the item-parceled solutions and the item-level solutions, and that the item-parceled solutions had better goodness-of-fit indices, such as GFI, AGFI, CFI, and NFI, than the solutions at the item level. However, in terms of RMSEA, there was no such tendency. GFIAGFICFINFIRMSEAIndividual Items0.7580.7100.8960.8480.0919Two Items Parceled0.8580.7540.9380.9210.130Table 2. Improvements in GFI Indices in General Model I.
    Specifically, in the examination of our general Model I, we had highly consistent test results of causal parameters between the item-parceled solution and the item-level solution. In the item-parceled solution, we achieved improved GFI, AGFI, CFI, and NFI but worse RMSEA. The constructs tested in Model I were self-image congruence, products knowledge, brand dependability, brand emotion, purchase loyalty, and attitude loyalty. CR (composite reliability) and 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 for each construct in Model I were as follows: self-image congruence (CR = 0.78, AVE = 0.48), products knowledge (CR = 0.65, AVE = 0.32), brand dependability (CR = 0.90, AVE = 0.70), brand emotion (CR = 0.92, AVE = 0.71), purchase loyalty (CR = 0.84, AVE = 0.64), and attitude loyalty (CR = 0.80, AVE = 0.51). The range of all the indices for standardized coefficients was between 0.592 and 0.957 at a significance level of ps<0.001.
    In the case of investigating our general Model II, we had the same consistent test results between the two solutions with regard to the testing of causal parameters. The indices such as GFI, AGFI, CFI, NFI and RMSEA were improved in the model II. The constructs used in model II were organizational control, individual control, job definiteness, emotional commitments, salesperson's performance, and customer orientation. CR (composite reliability) and 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 for each construct in model II were as follows: organizational control (CR = 0.75, AVE = 0.53), individual control (CR = 0.77, AVE = 0.47), job definiteness (CR = 0.92, AVE = 0.71), emotional commitments CR = 0.85, AVE = 0.42), salesperson's performance (CR = 0.82, AVE = 0.43), and customer orientation (CR = 0.71, AVE = 0.35). The range of all indices of standardized coefficients was between 0.587 and 0. 941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s<0.001. However, two items for customer orienta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GFIAGFICFINFIRMSEAIndividual Items0.6710.6240.7570.7110.110Two Items Parceled0.8990.8360.9320.9120.0978
    Table 4. Improvements in GFI Indices in General Model II
    The result of our examination of our general Model II showed highly consistent test results in both solutions with regard to causal parameter tests and the item-parceled solution resulted in improved GFI, AGFI, CFI, NFI, and RMSEA. The constructs involved in model III were congruence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organization, leader's support, fairness in compensa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CR (composite reliability) and 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 for each construct in Model III were as follows: congruence between individuals and the organization (CR = 0.84, AVE = 0.63), leader's support (CR = 0.89, AVE = 0.62), fairness in compensation (CR = 0.88, AVE = 0.64), job satisfaction (CR = 0.78, AVE = 0.54), and OCB (CR = 0.88, AVE = 0.73). The range for all indices of the standardized coefficients were between 0.392 and 0. 907 at a significant level of ps<0.001.
    GFIAGFICFINFIRMSEAIndividual Items0.8810.8460.9250.8860.0724Two Items Parceled0.9560.9260.9760.9520.0537Table 6. Improvements in GFI Indices in General Model III

    In addition, we showed that better item-parceling can be made if we use 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 and SMC (squared multiple correlation) in order to select good indicators. Finally, we noted that with regard to item-parceling,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at we should confirm the unidimensionality of the indicators in each construct beforeh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