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연방노동관계법상 공동사용자 지위 결정에 관한 규칙 개정의 의미 - 초기업별 교섭에서 사용자 지위 및 교섭의무 판단을 둘러싼 쟁점을 중심으로 - (Implications of Revised Rules for Determining Joint Employer Status under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Act - Focusing on issues surrounding the determination of joint employer status and the duty to b)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4.06
31P 미리보기
미국 연방노동관계법상 공동사용자 지위 결정에 관한 규칙 개정의 의미 - 초기업별 교섭에서 사용자 지위 및 교섭의무 판단을 둘러싼 쟁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 수록지 정보 : 산업관계연구 / 34권 / 2호 / 23 ~ 53페이지
    · 저자명 : 강주리

    초록

    최근 들어 다양한 다면적 노무제공 관계가 확산됨에 따라, 원사업주에게교섭요구사항에 대한 처분 권한이 존재하지 않는 사안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조합이 원사업주 이외의 사업주에게 교섭을 요구하는 사건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변화하는 일터의 모습을 반영하여 단체교섭권의 구체적인실현 관점에서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지위에 있는 자를 사용자를 판단하고단체교섭 응낙의무를 부과하는 법리가 형성되고 있다.
    CJ대한통운 판결에서 원사업주 이외의 사업주가 단체교섭의무를 부담하는논거와 단체교섭의무를 부담하는 사용자에 대한 판단기준이 제시되었으나, 법리가 형성되고 있는 상황에서 각 교섭요구사항에 따른 지배력을 어떠한방식으로 인정할지, 지배력과 함께 사용자 지위를 판단하는 종합적 판단요소들을 어떠한 관점에서 설정하고 해석하여야 할지, 나아가 단체교섭의무를 인정하는 범위는 어떠한 관점에서 어디까지 획정하여야 할지는 명확하지 않다.
    실질적 지배력 법리를 적용한 사례들이 축적되는 과정에서 보다 적절한 기준이 확립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기업별 교섭이 이루어져 온 미국에서는, 일정한 요건 하에서 원사업주 이외의 사업주에게 교섭의무를 부과해 왔다. 미국의 연방노동관계법상 공동사용자 법리는 첫째, (공동)사용자 지위를 판단함에 있어 노동조건에 대한 지배력을 고려한다는 점 둘째, 원사업주와 원사업주가 아닌 사업주가 자신이 지배 내지 처분 권한을 갖는 한도에서 교섭의무를 부담토록한다는 점에서 실질적 지배력 법리와 맞닿아 있다.
    특히 최근 개정된 연방노동관계법상 공동사용자 지위 결정에 관한 개정규칙은 공동사용자 지위와 교섭의무의 판단 단계를 분리(디커플링)하면서, 단체교섭 관행을 촉진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공동사용자 지위를 확립하는 기본적인 고용조건을 명확히 하여 공동사용자 지위에 관한 판단은 용이하게 하면서도, 기본적인 고용조건에 국한하지 않고 자신이 처분 권한을 갖는 고용조건에 대해 교섭의무를 부담토록 하여, 단체교섭권의 구체적인 실현을 도모하고 있다. 개정규칙의 공보문에는 공동사용자 지위와 교섭의무를 둘러싼 많은 쟁점을 담고 있다. 개정규칙의 의견수렴과정에서의 공동사용자 지위 판단기준 및 교섭의무 부담범위에 관한 논의들은 단체교섭 국면에서 실질적 지배력 법리를 적용함에 있어 추가적으로 논의가 필요한 문제들과 맞닿아 있다. 이 글에서는 규칙 개정 과정에서의 논의에 초점을 맞춰 미국의 공동사용자 지위와 교섭의무 판단기준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근로조건에 대해 원사업주를 넘어 지배가 이루어지는 사안에서의 사용자 지위와 교섭의무 부담범위를 둘러싼 쟁점을 가늠해보았다

    영어초록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original employer does not have the right to dispose of bargaining demands has increased due to the proliferation of various multifaceted employment relationships. Accordingly,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unions request bargaining with employers other than the original employer is also increasing. Reflecting the changing face of the workplace, jurisprudence is emerging that determines who is capable of resolving disput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cret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collective bargaining and imposes an obligation to accept collective bargaining.
    The CJ Logistics ruling provided the rationale for an employer who does not have a employment contract to be obligated to collectively bargain and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who is obligated to collectively bargain. However, it is not clear how to recognize dominance under each of the bargaining requirements, how to establish and interpret the comprehensive factors for determining the status of a user along with dominance, and how to define the scope of the collective bargaining obligation. More appropriate standards need to be developed as cases applying the substantial control doctrine accumulate.
    In the United States, where company-level bargaining has been practiced for a long time, the duty to bargain has been imposed on employers other than those who have employment contracts with employees under certain conditions. The joint employer doctrine under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Act is similar to the substantial control doctrine in that, first, it considers control over working conditions in determining (joint) employer status and, second, it imposes bargaining obligations on employers and other employers who have employment contracts with employees to the extent that they have control or authority.
    In particular, recent amendments to the rules governing the determination of joint employer status under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Act decouple the steps for determining joint employer status from bargaining obligations in order to facilitate collective bargaining practices. While clarifying the basic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that establish joint-employer status to facilitate the determination of joint-employer status, the amendment also requires employers to bargain over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over which they have the right to dispose, rather than limiting themselves to basic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thereby promoting the concrete realization of collective bargaining rights. The federal register of the amendment contains many questions regarding joint employer status and bargaining obligations. The discussion of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joint employer status and the scope of the duty to bargain during the public comment period for the proposed rule raises issues that warrant further discussion in the application of the substantial control doctrine in the collective bargaining context. This article examines the U.S. test for joint employer status and the duty to bargain, focusing on the discussions during the rulemaking process. This article examines the issues surrounding employer status and the scope of the duty to bargain in cases where working conditions are controlled by employers other than those with whom the employee has an employment contr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산업관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