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작위와 부작위 구분의 애매성과 부작위 내 분류기준에 대한 검토 - 보증인 의무에 있어서의 보호의무와 안전의무 구별을 중심으로 - (Dogmatics on the ambiguity of the distinction between acts and omissions and the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within the omissions - Focusing on the distinction between protection and safety oblig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3.02
38P 미리보기
작위와 부작위 구분의 애매성과 부작위 내 분류기준에 대한 검토 - 보증인 의무에 있어서의 보호의무와 안전의무 구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홍익법학 / 24권 / 1호 / 467 ~ 504페이지
    · 저자명 : 안정빈

    초록

    부작위범을 처벌하려면 요건을 엄격하게 해 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어떠한 부작위 행위가 있을 경우 이를 작위로 판단해야 할지 부작위로 판단해야 할지는 상당히 애매하다. 애매성에 관하여, Cesare Beccaria는 법률의 자의적 해석이 나쁜 것이라면, 그러한 해석을 필수불가결하게 만드는 불명확성(obscurity) 역시 또 다른 악일 수밖에 없다고 한다. 그러한 경우 국민은 자신의 재산과 자유에 관해 취해야 할 태도를 스스로 판단할 수 없게 되고, 그 때문에 법률의 해석은 소수의 사람들에게 일임될 수밖에 없게 된다고 한다. 어떠한 부작위행위가 있다면 이를 작위로 판단해야 할지 부작위로 판단해야 할지는 상당히 애매하다. 가령 집단적 노무제공 거부로 인한 파업이 부작위에 해당하는지 작위에 해당하는지에 대해서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대법관 5인은 소수의견에서 집단적 노무제공 거부로 인한 파업이 부작위라고 밝혔다.
    부작위 정범과 공범의 구별문제에 있어서 부작위범이 부작위 방조로 인정이 될 경우, 방조미수는 불가벌까지 될 수 있으니 정범과 공범을 뚜렷하게 구별해 주는 쟁점(Agenda)은 피의자/피고인 입장에서는 아주 절실한 문제이다. 부작위범에게 있어서 미수의 경우 가벌성이 획기적으로 감축된다는 측면에서 부작위 방조로의 인정은 절실한 선결문제가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보증인의무에 있어서의 보호의무와 안전의무 구별을 중심으로 하여, 작위와 부작위 구분의 애매성과 부작위 내 분류기준에 대한 검토를 할 것이며, 보라매병원 판결과 세월호사건 판결을 이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본고는 이론적 중요성을 가지면서도 이론에 머무르고 말았던 부작위 가담자의 죄책을 구체적 유형별로 치밀하게 분석하였고 특히 가담자 간에 작위의무의 층위를 구별할 수 있는 경우에 유용한 논거가 될 것이라는 기대 하에 작성하였다.
    본고는 형법의 전통주제인 부진정부작위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부작위범의 불법과 관련하여 많은 논의(작위와 부작위의 구별, 부작위범에 있어서 정범과 공범의 구별, 동가치성의 문제 등)들이 있는데 본고에서는 보증인의 의무내용구별설로 범위를 한정하고 논의를 진행시켰다. 즉 보증인의무에 있어서의 보호의무와 안전의무 구별이 중심적 내용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한국뿐만 아니라 독일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기존의 논의를 더욱더 심화한다는 의미에서 본고가 가지는 학술적 가치는 적지 않다고 판단했다. 또한 다루려는 주제를 위와 같이 한정하면서도 논문구성의 필요에 의해 부작위범 일반에 관한 전반적인 논의까지 일부 기술하였다.

    영어초록

    Punishing the omission requires efforts to tighten the requirements. If there is any omission, it is quite ambiguous whether it should be judged as an omission or not. As for ambiguity, Cesare Beccaria says that if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law is bad, the uncertainty that makes such interpretation indispensable is also another evil. In such a case, the people will not be able to judge their own attitudes regarding their property and freedom, and for that reason,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will be left to a small number of people. If there is any omission, it is quite ambiguous whether it should be judged as an omission or not. For example, in the Supreme Court of Korea's ruling on whether the strike due to the refusal to provide collective labor is an omission or an act, five Supreme Court justices said in a minority opinion that the strike due to the refusal to provide collective labor is an omission. In the judgment of Boramae Hospital, the first trial court judged that doctors had a status and duty to protect the patient's life and body, and imposed a crime of "murder by omission" on the doctor in case of death due to a doctor's interruption.
    In fact, after the Boramae Hospital incident, doctors are conducting medical practice defensively to avoid criminal responsibility. Perhaps if there was a reduction clause for the omission, as in Germany, the second trial court could have continued to plead guilty to the omission murder and drastically reduced the sentence. However, unlike Germany, there is no provision for reduction of omission crimes, so whether it is omission murder or forgery murder, it is the same murder cr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홍익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