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적장애사실 불고지와 고지의무 위반 여부 — 부산지방법원 2018. 10. 24. 선고 2018나46292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on Disclosure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Violation of Disclosure Duty — focused on the case of Busan district court 2018Na46292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9.10
25P 미리보기
지적장애사실 불고지와 고지의무 위반 여부 — 부산지방법원 2018. 10. 24. 선고 2018나46292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법률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법률 / 30권 / 1호 / 161 ~ 185페이지
    · 저자명 : 최병규

    초록

    보험제도를 둘러싼 이론 가운데 가장 문제가 되는 영역이 고지의무 부분이다. 보험계약자는 보험계약체결시 중요한 사항을 보험자에게 고지하여야 한다. 이는 보험제도의 선의성과 관련된 제도이다. 그런데 중요한 사항을 잘못 고지한 경우 과연 보험금을 지급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는 고지의무 제도를 둘러싼 여러 가지 장치를 살펴보아야 한다. 고지의무의 위반의 경우에도 보험계약자 보호를 위한 여러 가지 장치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부산지방법원에서 문제가 사례의 경우에는 지적장애를 고지하지 아니한 점에는 다툼이 없다. 그런데 해수천이 시작되는 곳으로 수심이 깊어 입수가 금지된 곳으로서 주변에는 '수영금지구역', '위험' 등의 표지판이 세워져 있었던 곳에 저지가 있었음에도 들어가서 조개를 잡다가 빠져 사망한 것이 지적장애사실 불고지와 인과관계가 있는지가 이 사안의 해결을 위한 핵심이다. 정상적인 사람의 경우에도 경고문구와 저지가 있었음에도 위험구역으로 들어갈 수는 있다. 그런데 우리 대법원은 인과관계를 조금이라도 엿볼 수 있으면 인과관계가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문제가 된 사안을 대법원판례와 연결하여 살펴보면 지적장애 불고지와 이 사건 사고와는 인관관계가 전혀 없지는 아니하다. 따라서 대법원 판례에 의하면 인과관계가 존재하고 보험자는 보험금을 지급하지 아니하여도 된다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그런데 인과관계를 엄격하게 해석하면 이러한 경우에는 상당인과관계가 반드시 존재한다고 할 수는 없다. 대법원 판례의 입장은 인과관계제도를 인정하는 것이 보험계약의 선의성을 관철하는 데에 일부 문제가 있는 것으로 평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독일의 판례에서도 지병을 묵비하였는데 나중에 그 지병의 수술의 과실로 인한 피보험자의 신체적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있어서 인과관계를 어느 정도 인정할 수 있으면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글에서 검토의 대상이 된 사안에 대한 부산지방법원의 판단은 타당하다. 다만 부산지방법원은 “보험계약을 체결할 때 중요 사항의 고지의무를 위반한 경우, 보험사고의 발생이 보험계약자의 불고지·불실고지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 증명된 때에는 상법 제655조 단서에 의해 불실고지를 이유로 보험계약을 해지할 수 없다”고 판시하였는데, 이것은 정확하지 않다. 고지의무위반으로 보험자가 보험금지급을 거절하기 위하여는 여러 가지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먼저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고지의무를 위반하여야 한다. 불고지한 사실과 사고발생 간에 인과관계가 존재하여야 한다. 고지의무위반을 안날로부터 1월, 계약체결일로부터 3년이라는 제척기간이 경과하지 전이어야 한다. 고지의무의 취지를 고려하여 대법원은 인과관계를 조금이라도 엿볼 수 있으면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고지의무를 둘러싼 메커니즘은 매우 복잡하게 얽혀있다. 이를 보험계약자들이 잘 이해하는 것이 분쟁의 발생을 피하기 위하여 중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보험제도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고지의무를 비롯한 각종 의무를 적정하게 이행하여 나중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험교육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most problematic area of ​​the theory surrounding the insurance system is the obligation(duty of disclosure). The policyholder shall notify the insurer of important matters when concluding the insurance contract. This is an institution related to the goodness of the insurance system. However, in order to judge whether or not to pay insurance premiums in case of misrepresentation of important matters, it is necessary to examine various devices surrounding the notice duty system. In case of breach of obligation, there are various devices for protecting policyholders. There is no disagreement about the fact that the insured did not notify the intellectual disability of insured in the case of Busan District Court. However, the place where the seawater stream begins is deep and the water is prohibited. There was a jersey in the vicinity where there were signs such as 'no swimming zone' and 'danger'. Whether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is is the key to solving this issue. Even in the case of a normal person, it is possible to enter dangerous areas even if there are warning phrases and obstructions. However, the Supreme Court is taking a position that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if we can get a glimpse of causation. If we look at the issue in question with the Supreme Court case,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the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 incident. Therefore, Supreme Court cases can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and that the insurer may not pay insurance benefits. However, strict interpretation of causal relationship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causal relationships exist in such cases. The Supreme Court's case can be interpreted as recognizing the causal system as having some problems in pursuing the goodness of insurance contracts. In the German case, the patient was immobilized, and the 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to exist even if the insured person's physical damage occurred due to the negligence of the patient's surgery at a later date.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if the causal relationship can be recognized to some extent . In this regard, the judgment of the Busan District Court on the matter that was subject to review in this article is reasonable. However, the Pusan ​​District Court concluded that "when the insurance contract is violated, it is proved that the occurrence of the insurance accident is not caused by the insolvency or disinformation of the policyholder. I can not cancel the insurance contract because of the notice. "This is not correct. In order for an insurer to refuse payment of a claim for breach of obligation, various requirements must be met. First, it must violate the notice obligation with intentional or grave error. There must b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burning fact and the accident occurrence. Notice of breach of obligation shall be made from January 1, not later than 3 years after the contract date. The Supreme Court considers that there is causality if there is a slight glimpse of the causal relationship, taking into account the purpose of the obligation. In this way, the mechanism surrounding the obligation is very complex. It is important for insurance contractors to understand this in order to avoid the occurrence of dispute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insurance system accurately and to implement insurance duties and other duties appropriately so as to expand insurance education so that accidents do not occur la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법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