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엔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UNGPs) 채택 이후 국가의 적극적 보호의무 강화에 대한 고찰 (Reflection on the State's Positive Duty to Protect after the Endorsement of the UN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8.02
30P 미리보기
유엔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UNGPs) 채택 이후 국가의 적극적 보호의무 강화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강법률논총 / 7권 / 1호 / 83 ~ 112페이지
    · 저자명 : 정은주

    초록

    지난 2005년 유엔 前사무총장 코피아난(Kofi Annan)은 인권침해에 대한 기업의 책임 기준과 다국적 기업 활동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국가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자 존 러기(John Ruggie) 하버드 로스쿨 교수를 사무총장 특별대표로 임명하였다. 존 러기 前특별대표는 두 번의 임기를 거쳐 2011년 6월, 국제사회에서 첨예한 논쟁의 대립각을 세우던 기업의 인권책임에 관한 국제 프레임워크를 발표한다. 유엔 인권이사회(UN Human Rights Council, UNHRC)의 만장일치로 채택된 ‘유엔 기업과 인권에 관한 이행원칙(UN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UNGPs)’은 국가의 보호의무와 기업의 존중책임, 이 두 주체의 비/사법적 구제를 명시하였다는 점에서 국제사회의 환영을 받았다.
    그러나 합의의 산물인 이행원칙(UNGPs)이 기업의 인권책무(Legal liability)와 관련하여 국제법상 논란의 여지가 될 만한 요소들을 모두 해결해준 것은 아니었다. 존 러기 前특별대표는 기업이 국제법상 의무의 주체가 아닌 점을 다시 한 번 확인하면서, 합리적 기대가설 하 기업의 자발적 책임이 인권실천을 제고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견해는 국제법상 국가의 역외의무, 의무부담자(Duty-bearer)로서의 기업의 성격, 개발도상국에 주로 위치한 공급망 내 모기업의 인권책무에 관한 논의를 지속하게끔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유엔 사회·경제·문화적 권리 위원회(UN ICESCR) 등 1960년대 이후 여러 국제인권조약기구가 해석해 온 전통과도 상충된다.
    본고는 국제인권기준의 검토를 통해 UNGPs의 한계점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UNGPs가 강조한 국가의 보호의무에 주목한다. 또한 기업의 인권실천 점검의무(Human Rights Due Diligence, HRDD)의 수행이 기업의 인권실천 강화를 증명하지 못하는 현실에 주목하면서, 국가의 보호의무 강화가 기업의 변화를 견인해 낼 중요한 준거점이 될 수 있다고 바라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 방안으로 기업의 HRDD의 이행을 의무화하는 입법조치와 함께 피해자 구제를 강화하기 위한 사법공조 등의 국제협력을 고려해볼 수 있다. 더불어 투자, 무역, 회사법 등 서로 상이한 법률체계에서 인권의 원칙에 관한 통합적 접근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In 2005, John Ruggie was appointed as the Special Representative of Secretary General to clarify the standards of corporate responsibility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Six years later, the UN Human Rights Council unanimously welcomed the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UNGPs) articulating the role of States and corporations for adverse human rights impacts and their non/judicial remedy. Since the adoption in 2011, however, UNGPs have become the focal point for the debate on corporate liability through presenting clear shortcomings. UNGPs do not fully reflect the existing debate on States’ extraterritorial obligations; fail to refine the legal status of corporations as duty bearers; and as a result, they do not extend a parent company’s liability to the supply chain.
    The absence of corporate legal obligations decreases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Due Diligence (HRDD) capable of ensuring corporate responsibility, as indicated in the Corporate Human Rights Benchmark’s analysis. Accordingly, this article practically suggests corporate mandatory due diligence such as the French duty of vigilance law,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improve access to remedy in host States such as ensur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exchange for investigatory functions. Above all, in order to enhance corporate responsible conduct, creating an enabling environment to solve corporate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to human rights practices is vital more than just rules and regul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