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야간 재배 온도별 무(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의 생육 특성 및 생산성 (Growth and Productivity of Radish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under Different Day/Night Temperature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2.04
11P 미리보기
주야간 재배 온도별 무(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의 생육 특성 및 생산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원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원예과학기술지 / 40권 / 2호 / 168 ~ 178페이지
    · 저자명 : 오서영, 문경환, 신민지, 이성은, 고석찬

    초록

    본 연구에서는 주야간 온도를 달리한 조건(14/8°C, 19/13°C, 24/18°C, 29/23°C, 34/28°C)에서 무(R. sativus var. hortensis)를 재배하였을 때, 광계II 활성, 영양생장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무 종자의 발아는 BBCH 09 단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24/18°C 이상의 온도에서 발아가 잘 이루어졌다. 그러나, 29/23°C 이상의 온도에서는 하배축 신장이 빨라 뿌리가 비정상적으로 만곡되는 양상을 보였다. 파종 30일 이후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장은 24/18°C에서 가장 길고 무거웠으며, 24/18°C 이상의 온도에서는 잎의 발달이 파종 후 30일에 BBCH 19 단계에 이르러 엽수도 많고 엽면적도 넓어지는 등 지상부의 생장 속도가 빨랐다. 반면에 뿌리는 24/18°C 이하의 온도에서 더 길고 굵었으며, 24/18°C에서 BBCH 47 단계인 뿌리가 70% 정도 비대한 상태로 발달하는데 필요한 기간이 70일 이내로 나타났다. 지하부의 직경은 24/18°C에서 파종 후 80일 이내에 10cm 이상으로 굵었고 내부 갈변도 발생하지 않아서, 가장 무거우면서 굵고 길게 뻗은 품질이 양호한 무를 생산할 수 있었다. 또한 광계II의 최대 광화학적 효율(Fv/Fm)도 24/18°C 이하의 온도에서 높았으며, 엽면적당 흡수되는 빛에너지(ABS/CSm)와 광계II의 반응중심에 포획되는 에너지(TRo/CSm), 전자전달로 전해지는 에너지(ETo/CSm)가 모두 높아져 무가 온도 스트레스 없이 잘 자랄 수 있는 조건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무의 외형적인 상품성과 크기나 무게 등 생산성을 감안하였을 때 무의 재배는 24/18°C에서 수행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otosystem II photochemical efficiency (variable to maximum fluorescence ratio, Fv/Fm), vegetative growth, and productivity of radish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grown under different day/night temperatures (14/8°C, 19/13°C, 24/18°C, 29/23°C, and 34/28°C). Radish seed germination rates corresponding to Biologische Bundesanstalt, Bundessortenamt und Chemische Industrie (BBCH) stage 09 occurred readily at temperatures higher than 24/18°C, whereas hypocotyls elongated rapidly to cause abnormal root curving above 29/23°C. Shoots and roots grew well at 30 days after sowing (DAS). Leaves developed rapidly at temperatures above 24/18°C, reaching BBCH stage 19 at 30 DAS, during which leaf number and area increased, whereas roots showed better development at temperatures below 24/18°C, taking ~70 days for 70% of roots to attain BBCH stage 47 at 24/18°C. Root growth rates were highest at 24/18°C, with root diameters reaching ≥ 10 cm within 80 DAS at 24/18°C. At 85 DAS, high-quality roots, i.e., thick and long with no internal browning, were produced at 24/18°C. Fv/Fm was high at temperatures below 24/18°C, and absorption flux per cross-section (ABS/CSm), trapped energy flux per cross section (TRo/CSm), and electron transport per cross section (ETo/CSm) were high at 19/13°C and 24/18°C.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radish plants grew well and without temperature stress at 19/13°C and 24/18°C. However, the optimal day/night temperature for producing high-quality radish roots of marketable size and weight is 24/18°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예과학기술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