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꽃의 개화 단계별 향기성분 조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sition of Floral Volatile Components in the Flowering Stages of Robinia pseudoacacia L.)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7.09
8P 미리보기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꽃의 개화 단계별 향기성분 조성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봉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Apiculture / 32권 / 3호 / 139 ~ 146페이지
    · 저자명 : 정제원, 이현숙, 노광래, 김문섭, 이안도성, 김세현, 권형욱

    초록

    식물의 향기성분에 대한 프로파일은 기본적으로추출법의 효율성에 기반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SPME 방식은 한 개체의 식물로부터 반복적인 시료의 채취가 가능하고, 사용하는 fiber의 종류에 따라 극성과 비극성 성분 모두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넓고 재현성이 강하다. 본 연구는 아까시나무 꽃으로부터 발산되는 휘발성 성분을 SPME법으로 추출하여 GC/MS를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선행연구에서관찰한 결과(Aronne et al., 2014; Xie et al., 2006) 아까시나무 꽃의 향기성분은 대다수 terpenoids와 benzenoids 화합물로 밝혀졌다. Pinene, (Z)-β-ocimene, linalool, benzaldehyde가 대표적인 아까시나무 꽃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β-myrcene, limonene, farnesene, methyl benzonate, indole, methyl anthranilate, phenylethyl alcohol 등은 아까시나무 꽃 특유의 강한 향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휘발성분으로 생각된다. 또한본 연구는 개화의 단계별로 발산하는 향기성분과 그구성비율이 확연하게 차이가 있음을알수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꽃이 생합성 하는 향기성분의 조성은 정적인 비율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꽃잎의 발달과 함께 동적인 비율로 구성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 아까시나무 꽃의 향기성분 생산에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 향기성분 발산의 주기성, 꽃의 노화와수분 후(post-pollination)의 향기 발산, 화색과 향기성분과의 연관성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Floral scent emitted from many plants is the critical factors for pollinator attraction and defense for adaptation in environments. The fragrance components of flowers are different in composition by geographical origins, climate factors and the development stages of flower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volatile-floral compounds in flowers of Robinia pseudoacacia L. and defined the chemical contribution for flowering periods. The volatile compounds analysis was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 with mass selective detector after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We reported different compositional features of fragrance compounds according to flowering periods.
    The abundant compounds identified in stage 1 were α-pinene (66.80%) and β-pinene (26.53%).
    Those of the stage 2 were (Z)-β-ocimene (37.57%), α-pinene (15.16%), benzaldehyde (16.63%), linalool (12.13%). The volatiles of stage 3 comprised an abundance of (Z)-β-ocimene (64.94%), α-pinene (9.84%), linalool (8.92%), benzaldehyde (1.71%). Leaf volatiles were distinct from those in the reproductive plant parts by their high relative amount of (E)-β-ocimene (23.50%) and (Z)-3- Hexenyl acetate (27.87%). Differences in flower scents of the different stages and leaves are discussed in light of biochemical constraints on volatile chemical synthesis and of the role of flower scent in evolutionary ecology of R. pseudoacac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Api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