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직지」의 편성체계 및 무심선에 관한 서지적 연구 (A Bibliophic Research on the Structure of Jikji and the Ideology of MusimSeo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06
40P 미리보기
「직지」의 편성체계 및 무심선에 관한 서지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86호 / 35 ~ 74페이지
    · 저자명 : 김성수

    초록

    이 연구는 「直指」에 초록[발췌]된 각 條項의 典據書誌를 분석하여 「직지」의 편성체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직지」 편성의 핵심 조항들을 導出하여, 白雲이 「직지」의 편성에서 暗示․反影하고 있는 無心禪의 正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직지」의 편성체계는 그 首尾(序分, 流通分)는 「전등록」의 체제를 模範으로 삼았고, 正宗分은 역대 傳燈語錄 등에서 祖師禪의 眞髓들을 초록․전개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직지」의 편성 내용은 ‘祖師禪의 色․聲․言語’ 등과 관련한 條項들을 전체 展開의 準據로 하고, 祖師禪 중에서 특히 깨달음(見性)의 要諦인 ‘無念․無心’을 浮刻시켜 제시하였다. 白雲은 無心․無念眞宗의 大解脫을 이루었다. 白雲의 見性은 ‘無心’으로써 參究하여, 항상 ‘無念’이 되면 마침내 冥然地[究竟覺]에 이르게 되는 佛地無念이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白雲의 無心禪은 ‘馬祖․百丈․黃檗이 성립시킨 無心修行法’을 실천하여, 항상 ‘慧能의 無念’이 되면 곧 見性을 증득하는 禪法임을 규명하였다. 또한 白雲의 禪思想은 大乘의 不二․中道思想과 「기신론」의 ‘眞如․無念’ 및 ‘如來藏․佛性’ 思想 등에 맞닿아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genuine meaning of MusimSeon(無心禪) ideology presented by Baegun-Hwasang(白雲和尙) in Jikji(直指) by examining the structure of Jikji and the concepts of two core keywords, that is, ‘Munyeom(無念)’ and ‘Musim (無心)’ specified in Jikji.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tructure of Jikji shows that the preliminary part is compiled based on the organization of Jeondeungrok (傳燈錄), and ‘Jeongjong-bun(正宗分)’ includes the core concepts of ‘JosaSeon(祖師禪)’, condensed from the previous records of Jeondeungrok. 2) The contents of Jikji shows the following structure: the clauses related to the concepts of ‘Color․Sound․Language(色․聲․言語)’ became the base framework of a whole structure, and ‘Munyeom․Musim’ as a key to the enlightenment in ‘JosaSeon’ was presented with a special emphasis. 3) Baegun-Hwasang accomplished the great enlightenment of ‘Musim․Munyeom- jinjong(無心․無念眞宗)’. Baegun’s enlightenment means the steady state of ‘Munyeom’ by continuously practicing ‘Musim’, and finally reaching the stage of completely forgetting worldly desires and corporalities. Therefore, Baegun’s MusimSeon is the state of ‘Munyeom’ in Buddhist world, reached by continuously practicing the method of ‘Musim’ organized by Majo(馬祖), Baekjang(百丈) and Hwangbyeok(黃檗). 4) Furthermore, Baegun’s ideology of Seon is closely linked with the ideology of ‘Bulyi(不二)’ of Mahayana Buddhism and the thoughts of ‘Jinyeo(眞如)․Munyeom’ and ‘Yeoraejang(如來藏)․Bulseong(佛性)’ of Daeseung-Gisinnon(大乘起信論).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