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대한 재인식 (Re-Cognition about Nonsense-Poem Theory of Kim Choon-So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1.12
23P 미리보기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대한 재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36호 / 201 ~ 223페이지
    · 저자명 : 이상호

    초록

    이 논문은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무의미시론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아직도 그 정체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많다. 그 근본 이유는 무의미시론이 다양한 이론과 개념들을 함유하기 때문이다. 또한 무의미의 개념에 대한 인식상의 혼란도 그 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개념을 수반하는 언어로 이루어진 시와 무의미시를 등식관계로 놓을 수 없는 모순점이 논자들을 혼란에 빠뜨린다. 이 논문은 이 점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의 정체를 밝혀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무의미시론은 관념에 대한 절망으로부터 비롯된다. 특히 기성관념의 허위성에 대한 인식이 시에서 관념을 배제하는 방법을 찾게 하였다. 그리하여 무의미는 기성관념을 무의미한 것으로 보고 파괴하려는 시인의 의지에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그 궁극적 목적은 새로운/진정한 세계에 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이 무의미의 이념적 개념이라면, 그 기법은 언어와 이미지 중심의 물질시 형태, 자유연상법, 자동기술법, 반 소설 기법 등등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이들은 주로 외적 대상을 재현하는 기존 방법들과는 달리 심리적인 것을 추구하여 외적 논리를 초월하는 특성을 갖는다. 즉 이미지를 당돌하게 병치함으로써 표면적으로는 통일성이 드러나지 않는 형태이다.
    이러한 기법은 일종의 ‘낯설게 만들기’와 같은 시적 기교이며, 세계와 존재의 진실에 근접하려는 철학적 회의를 형식화한 의미도 있다. 시다운 시는 의미 전달보다는 예술적 차원으로 승화되어 독자에게 미적 체험을 갖게 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은 예술적 차원에서 시적 위상을 드높이려는 예술의식에서 나온 결실이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a Study with regard to the Nonsense-Poem Theory of the poet, Kim Choon-Soo. Although many studies had been ever established hitherto about Nonsense-Poem Theory, there are still many difficult things to clearly grasp the identity. Its basic reason is because Nonsense-Poem Theory contains diverse theories and concepts therein. Likewise, the perceptional confusion with reference to Nonsense also influenced so. Especially, the contradictory point that unable to place as an equ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em consisted of the language which accompanying a concept and Nonsense-Poem let the debaters become ensnared into the confusion. This thesis has begun from such interest about this matter and also has been clarified the identity of Kim Choon-Soo’s Nonsense-Poem Theory. The summarized result is as the followings:Nonsense-Poem Theory originates from a despair against a notion. Particularly, the cognition about the falsity of ready-made idea let it finds the excluding method of the notion from the poem. Therefore, Nonsense regards the ready-made idea as ridiculous, and it is quite connected with the poet’s volition that willing to destroy it. And, the ultimate purpose is a thing to reach a new and true world. If this is the ideological concept of Nonsense, its technique is shown various appearances such as Substance-centered Form focusing on the language and image, Free Association Test, Automatism, Anti-Novel Technique, and so on. As these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ways that reproducing mainly the external object, these keep the characteristics transcending the external logic, by means of pursue the psychological thing. Namely, by insolently juxtapose them, at ostensible aspect the unity is not exposing form.
    Such technique is a kind of poetic skill such as ‘Making as Unfamiliar’, and there is also the formalized significance of the philosophical doubt that intend to approach the world and the truth of existence. A poem-like poem, rather than a mere meaning-conveyance, is sublimating to an artistic dimension, and it signifies that let the reader appreciates an aesthetic experience [Esthetisches Erlebnis]. Accordingly. in view of Kim Choon-Soo’s Nonsense-Poem Theory is the fruition born from an artistic consciousness that willing to raise the poetic stature in an artistic dimension, it could be highly evalu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