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墓域式支石墓의 出現과 社會相 -韓半島南部의 靑銅器時代生計와 墓制의 地域相- (A Study on the Emergence and Social Image of Grave Boundaries-Burial Ground)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2.04
36P 미리보기
墓域式支石墓의 出現과 社會相 -韓半島南部의 靑銅器時代生計와 墓制의 地域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서고고학 / 26호 / 38 ~ 73페이지
    · 저자명 : 안재호

    초록

    본고는 청동기시대 한반도 남한지역에서 생계방식의 차이에 따라서墓制가 달리 채용되는 일례를 밝히고자 했다. 그리고 생계방식은 기후환경의 영향을 받지만, 취락의 입지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청동기시대 전기에는 현재보다도 훨씬 온난한 기후라서 중부지역까지도 常綠闊葉樹林帶가 확대되어, 山地를 배경으로 생계를 유지한 집단은수렵채집과 火田을, 강안 충적지에서는 田作이 성행하였을 것이다. 이때의 주된 묘제는 支石墓와 石棺墓였다. 후기가 되면서 기후가 한랭해지고상록활엽수림대는 남쪽으로 후퇴하고 생계에도 변화를 보이게 되었다.
    이 시점을 전후하여 각지역은 지역색이 두드려져 지역문화권이 형성되었고, 水田도 등장하였다. 그 중심에는 지역공동체의 리더인 首長이祭儀를 주관하면서 성장하기 시작했고, 조상신의 숭배, 威信財의 제작,거대무덤인 區劃墓의 조영, 초대형의 지상식건물의 축조 등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형태의 수장사회는 내륙평야권의 전작 중심의 농경사회이고,청동기시대 후기의 주축이 되는 松菊里文化의 면모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한반도에서 가장 온난한 지역인 호남내륙권의 지석묘밀집지역에서는 산지를 배경으로 수렵채집과 화전 중심의 농경사회로서전기의 생계양식이 그대로 전승되었다. 또 포항-경주-울산의 東南海岸圈에서는 산지와 바다에 모두 인접한 지리적 환경 속에서 수렵과 어로활동이 중시된 농경사회로서 역시 전기의 생계양식을 답습한 듯하다. 이지역의 묘제는 주거지를 이용한 家屋墓와 방형 또는 원형의 周溝를 돌린周溝式區劃墓가 특징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clarify burial grounds were determined by subsisten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Bronze Age. As a whole, subsistence are influenced by climatic environments and have something close to do with the position of settlement.
    In early the Bronze Age, even more moderate climate was swept all around the South-Korean Peninsula, compared with the contemporary age. Therefor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as extended to Jungbu regions, and the population group which maintained their livelihood against the background of mountainous regions would live on especially, hunting and fishing and slash-and-burn, while the dwelling group populated in a flood plain, would live on especially, field crop. In late Bronze Ag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as declined to southern regions and during this age, livelihood suffered from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period, each region had so stark and unique local characteristic that the local cultural sphere and paddy field were formed and came into being. In the central regions, a local community leader and head began to exercise their power, leading and holding ancestral rites. The worship of ancestral divinity and the design of deity and the construction of grand guhoekmyo burial ground and the first ground building were dominated in this period. This head-centered society became the mainstream of field crop-focused agricultural community of inland plain regions, and at the same time, this society took the form of Songgukri Culture which became the major axis of the late Bronze Age. Meanwhile, regions around dolmen burial ground located in Honam inland regions, well-known as the most moderate climate regions on the Korean Peninsula handed down the subsistence where were pursued during early the Bronze Age when focused on hunting and slash-and-burn-based agricultural cultivation against mountainous regions.
    In Pohang-Gyeongju-Ulsan regions, the hunting and fishing-centered agricultural community in geographical environments surrounding mountains and seas seems to keep subsistence which were pursued during early the Bronze Age. This region has a characteristic to hold memorial services before the grave, with the use of residential areas-patterned house burial ground and square or circle-shaped log frame-styled guhoekmyo burial gr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서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