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유물을 점유하지 못한 공유자를 위한 구제수단으로서 방해배제와 인도청구- 대법원 2020. 5. 21. 선고 2018다287522 전원합의체판결을 중심으로 - (Herausgabe- und Beseitigungsanspruch als Rechtsbehelfe für unbesitzende Miteigentümer- Fokussiert auf das Urteil des Obersten Gerichtshofes vom 21. Mai 2020(2018Da287522)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11
37P 미리보기
공유물을 점유하지 못한 공유자를 위한 구제수단으로서 방해배제와 인도청구- 대법원 2020. 5. 21. 선고 2018다287522 전원합의체판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산법연구 / 38권 / 3호 / 69 ~ 105페이지
    · 저자명 : 이준현

    초록

    2020. 5. 21.에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공유물의 점유로부터 배제된 소수지분권자를 위한 물권적 구제수단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판결(이하 ‘2020년 판결’이라 함)을 내렸다. 2020년 판결에서는, 소수지분권자가 공유자 간 협의 없이 공유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독점 점유하는 경우에, 점유에서 배제된 다른 소수지분권자가 그 점유를 회복하기 위하여 독점 소수지분권자를 상대로 어떠한 청구를 할 수 있는가가 문제되었다. 다수의견은 소수지분권자에게 독점 소수지분권자를 상대로 한 지분권에 기초한 방해배제청구는 인정한 반면, 공유물 인도청구는 부정하였다. 이는 1994년 대법원 전원합의체판결(이하 ‘1994년 판결’이라 함)의 결과를 완전 뒤바꾼 것으로, 1994년 판결에서 다수의견은 소수지분권자에게 공유물 인도청구와 방해배제청구를 모두 인정한 반면, 소수의견은 방해배제청구만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2020년 판결은 그 결론 및 결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제시된 논거들에 대해서 의문이 가는 점들이 많아 쉽게 동의하기 어렵다. 아울러, 2020년 판결의 법리는 해당 분쟁의 범주를 뛰어넘는 본질적인 것이어서, ① 소수지분권자가 다수지분권자의 공유물에 대한 점유를 부당하게 박탈한 경우, ② 다수지분권자가 소수지분권자의 공유물에 대한 점유를 부당하게 박탈한 경우, ③ 제3자가 공유물을 무단으로 점유하는 경우의 결론 및 논거들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다. 그럼에도 2020년 판결은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 해당 판결의 법리가 어떠한 의미를 갖게 될 것인지에 대해서 어떠한 암시도 주고 있지 않다. 그 결과 2020년 판결은 위 각각의 경우에 대한 기존의 대법원판결들과 논리 충돌 및 이론적 불투명, 모호함을 낳게 되었다. 반면에, 1994년 판결(2020년 판결의 반대의견이기도 함)은 공유자에 대한 다양한 경우의 부당한 점유배제를 효과적으로 구제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공통적인 법적 근거도 제시하고 있어 오히려 유지할만한 가치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2020년 판결은, 판례를 변경하기에 앞서서, 그 변경으로 인하여 생기는 파급효과나 그 판결과 연결되어 있는 다른 수많은 대법원판결들의 논지 구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충분한 검토를 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으며, 이 점 아쉬움이 크다.

    영어초록

    Am 21. Mai 2020 erließ der Große Senat des koreanischen Obersten Gerichtshofes ein sehr wichtiges Urteil (im folgenden als ‘Urteil 2020’ bezeichnet) in Bezug auf die tatsächlichen Rechtsbehelfe für Inhaber des Minderheitsbruchteils, der vom Besitz der Sache ausgeschlossen ist.
    Im Urteil 2020 wurde bestritten, welche Art von Anspruch kann der vom Besitz ausgeschlossene Inhaber des Minderheitsbruchteils gegen den besitzenden Inhaber des Minderheitsbruchteils geltend machen, um das Besitz wiederzuherstellen, wenn er ohne Vereinbarung mit den anderen Miteigentümern das gesamte oder einen Teil der Sache ausschließlich besitzt. Die Mehrheitsmeinung im Urteil akzeptierte auf den Grund des Bruchteilsrechts den Beseitigungsanspruch des vom Besitz ausgeschlossenen Inhabers des Minderheitsbruchteils gegen den besitzenden Inhaber des Minderheitsbruchteils, lehnte jedoch seinen Herausgabeanspruch ab. Damit wurde das Urteil des Großen Senats des koreanischen Obersten Gerichtshofes von 1994 (im folgenden als ‘Urteil 1994’ bezeichnet) vollständig umgekehrt. Im Urteil 1994 erkannte die Mehrheitsmeinung sowohl den Herausgabeanspruch der Sache als auch den Beseitigungsanspruch an den besitzenden Inhaber des Minderheitsbruchteils an, während die Minderheitsmeinung nur seinen Beseitigungsanspruch akzeptierte. Aber es ist sehr schwierig, dem Urteil 2020 zuzustimmen, da es viele Probleme zu seiner Schlussfolgerung und seinen zur Stützung vorgelegten Argumenten gibt. Da die Rechtsüberlegungen des Urteils 2020 so wesentlich sind, dass sie über den Umfang des streitenden Urteils hinausgehen, können sie außerdem den Schlussfolgerungen und Argumenten der folgenden Fälle nicht anders als zu beeinflussen : ① der Fall, dass der Inhaber des Minderheitsbruchteils den Besitz des Inhabers des Mehrheitsbruchteils an der Sache unangemessen entzieht, ② der Fall, dass der Inhaber des Mehrheitsbruchteils den Besitz des Inhabers des Minderheitsbruchteils an der Sache zu Unrecht hindert, und ③ der Fall, dass die Dritte die Sache beliebig besitzend ist. Dennoch gibt das Urteil 2020 keinen Hinweis darauf, welche Bedeutungen die Rechtsüberlegungen des Urteils in jedem dieser Fälle haben würden. Infolgedessen führte das Urteil 2020 zum Widerspruch im Logik und theoretischer Undurchsichtigkeit und Mehrdeutigkeit mit den bestehenden Urteilen des Obersten Gerichtshofes über jede oben genannten Fälle.
    Andererseits konnten mit dem Urteil 1994 (das ist auch die Minderheitsmeinung des Urteils 2020) die Rechtsverletzungen in verschiedenen Arten gegen Miteigentümer wirksam beseitigt und eine gemeinsame Rechtsgrundlage geschaffen werden. Daher denke ich, dass es sich gelohnt hat, das Urteil 1994 veränderungslos beizubehalt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산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