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에게 혜화역 시위는 무엇이었나?: 2030 여성들의 경험과 목소리를 중심으로 (What Was ‘Haewha Station Protest’ to Us?: Focusing on voices and experiences of young wome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1.06
33P 미리보기
나에게 혜화역 시위는 무엇이었나?: 2030 여성들의 경험과 목소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정보학보 / 107호 / 116 ~ 148페이지
    · 저자명 : 정사강, 이재원, 박동숙

    초록

    본 연구는 현재까지 여성과 관련된 단일 이슈로 최대의 인원들이 거리에 나섰던 ‘혜화역 시위’와 관련하여 거리에서 또는 온라인상에서 이 시위에 참여/관여한 여성들이 해당 시위에 부여하는 의미를 탐색했다. 혜화역 시위 현장에 참여하거나 온라인상에서 참여/관여한 20∼3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했다. 분석 결과, 첫째, 이삼십 대 여성들은 특정 단체 등에 속하지 않고 소셜 미디어에서 시위관련 정보를 얻고 개인들의 경험으로 오프라인에 참여하였으며 둘째, 오프라인 시위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두려움을 느끼며 현장에 나갔지만 이내 함께하는 여성들에게 연대감을 느꼈다. 셋째, 이들은 자신들이 속한 사회에서의 외로움과 비주류로서의 위치성을 자각하며 ‘금지의 수사(rhetoric of prohibition)’와 같은 운동방식을 전략적으로 채택했다. 마지막으로, 이 시위의 성공 여부에 대해서 다양한 의견들을 제시했고, 방법상의 우려점들이 논의되어 지속 가능한 여성주의 사회운동으로 나아가야한다는 바람을 드러냈다. 혜화역 시위에 참여한 평범한 여성들은 일상 속의 불편함을 계기로 거리 시위에 나선 뒤, 두렵지만 함께 연대하는 경험을 통해 힘돋우기(empowering) 하며 투쟁하는 창발적 주체로 귀납적으로 발견된 존재로 거듭났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offline demonstration on the street or online discussion in relation to the Haewha Station protest, which has been the largest issue related to women so far. Therefo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participated in the Haewha Station protest or participated online, drawing meaning through their voi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2030 women got information about the protests on social media, participated offline with their personal experience. Second, they went out to the scene feeling scared however soon felt solidarity with the women who did not know each other but who were together. Third, they were aware of their loneliness in their society and their position as minorities, and strategically adopted method of the movement such as the “rhetoric of prohibition.” And finally, while presenting various opinions on the protest, they expressed their desire to continue to discuss related concerns and move toward a sustainable feminist social movement. Women’s experience in the Haewha Station protest shows the potential of women’s movement as a networked social movement through digital, where individuals share, unite in online and go offline spaces, not led by a specific organization or theory-based women’s m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