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간호학 실습교과목의 간호역량, 실습교육방법, 교수법 관련 문헌고찰 (Teaching Methods to Build Nursing Competency in Clinical Practicum: A Review of Literature)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3.10
13P 미리보기
간호학 실습교과목의 간호역량, 실습교육방법, 교수법 관련 문헌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3권 / 20호 / 393 ~ 405페이지
    · 저자명 : 정은숙

    초록

    목적 간호학 실습교과목은 학생들이 간호역량을 키우고 학습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교육방법, 교수법을 적용하고있는데, 이를 문헌고찰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방법 국내 논문을 RISS에서 17편, DBpia에서 9편, KISS에서 54편을 검색하였다. 그리하여 총 80편이었다. 먼저 서지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14편의 중복논문을 제외하였다. 66편의 논문들은 제목과 초록을 확인하여, 전혀 관련성 없는 타 분야의 논문 27편을제외하고 39편 논문의 전문을 출력하여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하지 않은 논문 1편을 제외하고 최종 38편을문헌고찰을 위한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문헌고찰 한 결과 간호역량은 17가지로 확인되었고, 가장 많이 나타난 빈도는 ① 의사소통능력, ② 임상수행능력, ③ 문제해결능력, ④자기주도학습, ⑤ 비판적사고, ⑥ 자기 효능감, ⑦ 자신감, ⑧ 임상추론역량, ⑨ 간호태도, ⑩ 자기조절, ⑪ 전문직관, ⑫ 리더십, ⑬ 환자중심 간호, ⑭ 정보활용능력, ⑮ 생명존중, ⑯ 간호연구, ⑰간호지식 순이었다. 실습교과목의 교육방법을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은 대부분 시뮬레이션 교육 62.2%, 온라인실습, 융합실습(온라인과 교내실습)으로 각각 2.7%씩 이루어지고 있었다.
    실습교과목의 교수법은 블렌디드 러닝,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 활용, 플립디드 러닝, 액션 러닝, 고충실도 시뮬레이터 활용, 팀기반학습 적용과 문제중심 학습, 역할극을 적용 한 교수법 등 성과기반 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수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실습교과목은간호역량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실습교육방법과 교수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간호교육인증평가 4주기 이전 간호학 실습교과목의 간호역량과 교육방법과 교수법을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있겠다. 한편 4주기 간호교육인증평가를 기점으로 평가원에서 새로 제시한 간호범주, 간호역량을 반영한 실습교과목 운영에 대한성과평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라며, 실습교과목은 간호역량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적용한 구체적인 실습내용에대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Nursing practicum has used various teaching methods to enable nursing students to build their nursing competencies. This review summarized the definition of nursing competencies, teaching modes of delivery, and teaching methods that were commonly used in clinical practicum in South Korea.
    Methods The initial search resulted in 17 articles in RISS, nine in DBpia, and 54 in KISS. Following the removal of duplicates, 14 articles were excluded. Next, the title and abstract of 66 studies were reviewed against our in 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39 studies remained for the full-text review. Following these steps, 37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literature review.
    Results Nursing competencies were measured using 17 concepts in clinical practicum. Of these 17 concepts, the most common concept used to evaluate nursing competency in clinical training was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practice, followed by clinical performance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self-discipline in learning, critical thinking skills, self-efficacy, and clinical reasoning skills. In terms of teaching modes of delivery in clinical practicum, the following modes were commonly used: simulation training, online learning, hybrid learning, and face-to-face training. Regarding teaching methods, high-fidelity simulation, flipped learning, team-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role-playing were commonly used in nursing practicum.
    Conclusions This literature review identified the commonly used concept of nursing competency in clinical practicum, teaching modes of delivery, and teaching methods in the existing literature published before the 4th cycle of the Korean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evaluation. Given that a new model of the Korean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was recently launched and new criteria for nursing competency were announced, the current clinical practicum needs to adopt new concepts of nursing competency and revise teaching methods accordingly. Future studies warrant more detailed investigations on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sub-categories of clinical trai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