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통업체 브랜드명 제시성이 제품유형에 따라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인지욕구와 제품지식의 조절역할 (The Influence of Private Brand Name Suggestiveness on Product Evaluation in Product Type: The Moderating Effects of Need for Cognition and Product Knowledg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4.01
35P 미리보기
유통업체 브랜드명 제시성이 제품유형에 따라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인지욕구와 제품지식의 조절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통학회
    · 수록지 정보 : 유통연구 / 19권 / 1호 / 65 ~ 99페이지
    · 저자명 : 박효현, 정강옥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유통업체 브랜드명 제시성이 제품유형별(실용재, 쾌락재)로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과소비자 특성 변수인 인지욕구와 제품지식의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1에서는 유통업체 브랜드명 제시성의 효과를 검증하는 차원에서 제품유형의 비교를 통해 유통업체 브랜드명 제시성이 제품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유통업체 브랜드명제시성은 제품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쾌락재보다 실용재에서 유통업체 브랜드명 제시성 효과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을 확장하여 유통업체 브랜드명 제시성이 제품유형에 따라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 특성 변수인 인지욕구와 제품지식에 의한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인지욕구가 높은 집단에서는 유통업체 브랜드명 제시성의 수준과 관계없이 제품유형 간 제품평가에서는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인지욕구가 낮은 집단에서는 쾌락재보다 실용재에서 제품평가가 더 긍정적으로나타났다. 한편 제품지식이 높은 집단에서는 유통업체 브랜드명 제시성의 수준과 관계없이 제품유형에따른 제품평가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제품지식이 낮은 집단에서는 쾌락재보다 실용재에서 제품평가가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후반부에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 및 향후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While private brands are not new in the retailing industry, in recent year, their market shareshave growing rapidly(Groznik and Heese 2010). The product categories of private brands arespreading from grocery items to household goods, clothing, and even electronic goods(Levyand Weitz 2006). Researches have explored how to respond to and take advantage of privatebrands for consumer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rivate brands have mainly focused on theseveral factors to increase the private brand sales. Those factors that affect to the private brandsales are classified into low price, new idea item, positioning, quality management, gold zonedisplay, etc..
    Recently, retailers are interested in developing good private brand name. For example,Lottemart changed private brand name called 'Wiselect' which has been used since 2003 to'Choice L' here in Korea. This implies that the retailers are conscious of the importance of thename in private brand product. The decision making of brand name is one of the critical tasksin marketing(Keller, Heckler and Houston 1998), because it is used as a cue when consumerevaluates and purchases the product(Zaichkowsky 1995). Despite the important role of brandname in developing private brand product, little is known about the impact of name on theconsumer response of private brand product.
    This paper focused on the impact of suggestive private brand name which is used as a variable to improve the product evaluation of private brand. Suggestive brand name can bedefined as a brand name that conveys relevant attribute or benefit information in the privatebrand product context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brand name suggestiveness inutilitarian goods than hedonic goods would improve the product evaluation of private brandmore. Also,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 characteristic factors such asneed for cognition and product knowledge between private brand name suggestiveness andproduct evaluation.
    Hypotheses are as follows.
    H1: In the case of high private brand name suggestiveness, utilitarian goods will have morepositive effect on product evaluation than hedonic goods. In low private brand namesuggestiveness, there will be no difference between utilitarian goods and hedonic goods.
    H2: In the case of high need for cognition, there will be no difference of product evaluationbetween utilitarian goods and hedonic goods in private brand name suggestiveness. While inlow need for cognition, high private brand name suggestiveness will have more positive effecton product evaluation in utilitarian goods than hedonic goods, but there will be no differenceof product evaluation between utilitarian goods and hedonic goods in low private brand namesuggestiveness.
    H3: In the case of high product knowledge, there will be no difference of product evaluationbetween utilitarian goods and hedonic goods in private brand name suggestiveness. While inlow product knowledge, high private brand name suggestiveness will have more positive effecton product evaluation in utilitarian goods than hedonic goods, but there will be no differenceof product evaluation between utilitarian goods and hedonic goods in low private brand namesugges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brand name suggestivenesshas a positive influence on product evaluation. Specifically, when utilitarian goods is higherthan hedonic goods, private brand name suggestiveness has more positive impact on productevaluation. Secondly, when need for cognition is high, there is no difference on product evaluationbetween utilitarian and hedonic goods regardless of private brand name suggestiveness. But,when need for cognition is low, private brand name suggestiveness of utilitarian goods showmore positive impact on product evaluation than hedonic goods. However, there is nodifference on product evaluation between utilitarian and hedonic goods when private brandname suggestiveness is low. Thirdly, when product knowledge is high, there is no difference on product evaluationbetween utilitarian goods and hedonic goods irrespective of private brand namesuggestiveness. But, when product knowledge is low, private brand name suggestivenessshows more positive impact on product evaluation in utilitarian goods than in hedonic goods,and if private brand name suggestiveness is low, there is no difference on product evaluationbetween utilitarian goods and hedonic goods.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