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권력의 빛과 폭력의 그림자: 한명회(韓明澮), 공사(公私)의 야누스인가? 경계인인가? (Light of Power and Shadow of Violence: Han Myung Hoe, Was he an Janus or Border liner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5.12
38P 미리보기
권력의 빛과 폭력의 그림자: 한명회(韓明澮), 공사(公私)의 야누스인가? 경계인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18권 / 4호 / 315 ~ 352페이지
    · 저자명 : 윤대식

    초록

    아렌트(H. Arendt)는 권력이란 정당화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정당성만을 필요로 하는 반면 폭력은 목적과 연관될 경우에만 정당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 정치사에도 이러한 정치의 양면성을 극적으로 드러낸 사건들 중 대표적으로 계유정난을 거론할 수 있다. 그것은 세조의 찬탈이라는 정통성 결여와 도덕적 비난으로 규정되었지만, 공식적인 기록은 그와 반대로 세조 통치의 정당성을 견지했다. 따라서 세조 치세의 기록과 기억은 서로 대립되며, 기록은 공적 영역의 빛을 반영하는 반면 기억은 사적 영역의 그림자를 반영한다. 또한 당시 공적 행위자에 대한 평가 역시 기록과 기억은 대립된다.
    이 글은 현실정치의 맥락에서 세조 치세에 대한 공정한 평가의 단서는 세조의 권력획득이 폭력을 통한 그림자를 안고 있었지만, 사적 동기에 따른 전횡으로 붕괴된 공적 영역의 회복이었는지의 여부에 달려 있으며, 그 관건이야말로 세조 치세의 시작을 기획한 한명회라는 현실정치 참여자의 공사 인식과 그 행위에 대한 해명에 달려 있을 것으로 접근한 것이다. 이로부터 한명회에 대한 평가 역시 기록과 기억의 교차에 따라 공적 책무의 이행자로서 능신의 모습과 사적 욕망을 충족했던 간신의 모습이 모두 투영되고 있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세조의 집권이 수양대군의 사적 욕망에 의한 찬탈이건, 종친으로의 공적 책무이건 모두 외형상 공적 영역보존이라는 빛의 모습이지만 실질적으로 공적 영역, 즉 정치의 실종을 가져왔기 때문에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다. 반면 한명회는 공적 책무의 충실한 이행자로서 성공적이었으며 동시에 사적 이익을 극대화하는데 솔직했다는 점에서 양면적이다. 역설적으로 비록 그가 공적 행위자로 성공했다 할지라도 그것은 세조에 대한 충성에 따른 순응적 존재로의 모습이라는 점에서 오히려 생각 없는 존재임을 보여주는 그림자이고, 사적 행위자로 비난받는다 할지라도 자기 욕망의 경계를 일탈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거꾸로 옅은 빛을 보여준다. 결국 세조 치세의 공정한 평가지표로서 한명회의 공정한 평가 역시 그가 현실정치의 양면성이라는 본질에 얼마나 균형을 잡으려고 노력했느냐의 여부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영어초록

    Duverger defined, politics is basically like an Janus of struggle and order. Dramatically as representative of the events that reflected the two sides of real politics in korean political history would address the Gyeyou Jeongnan(rectify uprising). It is provided as lack of legitimacy and moral accusations of usurpation of the King Sejo, but public documents recorded King Sejo's ruling for making a point of view the contrary. Thus, history and memories of King Sejo reign reflect the light of the public section, against while a reflection of the shadow of the private sector. The conflicts of documents and memories are also applied to a specific public actor at the time, too.
    In the context of real politics, this article approaches the motives and actions of Han Myung Hoe as a key to impartial assessment of King Sejo reign, although he acquisited power through violence, who tried recovery of public section collapsed according to the personal motives. Awareness and will of Han Myung-hoe depended more on approach to an explanation for King Sejo's action. Also record and memory about Han Myung-hoe from depending on the intersection give us both competent vassal who completing public duty but who meeting private desire vice versa.
    The critical point is the fact that King Sejo reign inevitably was criticized by bringing about disappearance of politics whether public duty toward the royal family or private desire. But Han Myung-hoe was a successful performer of public duty. He was honest for maximising private profit at the same time. Paradoxically, although he succeeded as public actors, his excessive loyalty to King Sejo shows rather thoughtless being as shadow, But even if condemned his desire, he did not deviate from the boundary of private section which he set up. That was the side of weak light. Finally, the fair assessment of Han Myung-hoe who was as an indicator of a fair assessment of King Sejo reign will be decided how to balance on the substance of two sides of real poli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