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建窯의 “供御”·“進琖”銘黑釉碗에 대한 기초적 검토 (A basic study on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供御)” or “Jinzhan(進琖)” of Jian ware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9.11
34P 미리보기
建窯의 “供御”·“進琖”銘黑釉碗에 대한 기초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36호 / 5 ~ 38페이지
    · 저자명 : 이희관

    초록

    이 연구는 두 차례에 걸친 建窯窯址와 그 주변 遺址에 대한 조사 결과를 주요 토대로 하여 “供御”·“進琖”銘黑釉碗과 관련된 몇 가지 기초적인 문제를 검토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도달한 대략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공어”·“진잔”명 실물자료에는 두 종류가 있다. 그 하나는 흑유완이고, 또 다른 하나는 墊餠이다. 건요에서는 흑유완을 소성할 때 그것을 匣鉢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물렁한 점병을 사용하였는데, 이 때문에 “공어”나 “진잔”명흑유완을 받친 점병의경우는 반드시 反文의 “공어”나 “진잔”명이 남게 마련이었다. 건요에서 제작된 供御用 의 흑유완에는 기본적으로 그것이 공어용임을 의미하는 “공어”나 “진잔”의 명문이 표시되었다.
    “공어”·“진잔”명은 건요에서 제작한 다양한 器形의 흑유완에서 확인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 가운데 특정한 기형의 束口碗과 撇口碗에서만 확인되는데, 이는 “공어”·“진잔”명흑유완을 제작할 때 궁정에서 제공한 見樣에 의거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방식이 製樣須索이다. 그리고 “공어”·“진잔”명흑유완은 건요요지에서는 매우 소량만이 출토된 반면, 요지에 인접한 南浦溪의 선착장이 있던 水尾嵐에서 다량으로 출토되었는데 그곳에는 본래 “공어”·“진잔”명흑유완의 瓷片堆積이 형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도 그것들이 製樣須索의 방식으로 조달되었다는 점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즉 건요의 여러 요장에서 궁정이 제공한 견양에 의거하여 제작된 “공어”·“진잔”명흑유완은 수미람으로 옮겨져 福建路轉運使의 책임 아래 建州나 甌寧縣의 관리들의 최종 選品을 거쳐 합격품들은 송의 궁정으로 운반되고 낙선품들은 그곳에 폐기되었다. 수미람에 형성된 “공어”·“진잔”명흑유완의 자편퇴적은 그러한 제양수색의 결과물가운데 하나인 셈이다.
    송대에 여러 민요에서 제양수색의 방식으로 어용자기를 조달하였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조달 방식이 본격화된 것은 북송말기 무렵부터인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 시기에 제양수색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이 연구, 즉 건요에서 제작된 “공어”·“진잔”명흑유완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이 점이 어느 정도 분명해졌으리라 믿는다. 이것이 이 연구의 가장 큰성과이자 의의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a few basic issues related to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供御)” or “Jinzhan(進琖)”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two series of field research on the Jian kiln(建窯) site and its surrounding area,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Piece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black glazed bowls and buttons (墊餠). In the Jian kiln, soft buttons were used to stably fix black glazed bowls to saggars (匣鉢) when firing the bowls, which inevitably left the reversed marks of “Gongyu” or “Jinzhan” on the buttons that were used to support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Black glazed bowls that were produced in the Jian kiln as a present to the palace were basically marked with words of “Gongyu” or “Jinzhan” that mean they are royal wares.
    Those marks were not always found on every type of black glazed bowls produced in the Jian kiln, but only on certain types of bowls including Shukou-type (束口型) and Piekou-type (撇口型) bowl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standardized sizes and forms (見 樣) of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that were provided by the palace in the manner of preparation in request (製樣須索). In addition, while only a small quantity of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were excavated from the Jian kiln, a large quantity were excavated from Shuiweilan (水尾嵐), a dock on the Nanpuxi River (南浦溪) near the Jian kiln. A pile of ceramic shards of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seemed to be created in the Shuiweilan site, which is inseparable from the finding that they were supplied in the manner of preparation in request(製樣須索). In other words,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were produced in several kilns according to the standards provided by the palace, were transferred to the Shuiweilan, and were inspected by officials in Jianzhou (建州) or Ouningxian (甌寧縣)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Forwarding Magistrate of Fujianlu (福建 路轉運使). The finally selected bowls were transfered to the palace of the Song Dynasty, and the rest were discarded in the Shuiweilan site. Therefore, the pile of ceramic shards created in the site is one of the results of preparation in request.
    It has been widely known that ceramics for royal use were supplied from several private kilns in the manner of preparation in request in the Song Dynasty. The method seems to have started in earnest in the late Northern Song Dynasty, but little has been known about the specific process of preparation in request that was executed in the peri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obtained through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that were produced in the Jian kiln are expected to have clarified the process to some extent, which can be the most meaningful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of this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야외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