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숙종대 明史 진강과 명의 멸망에 대한 인식 - 『明紀編年』 진강을 중심으로 - (Lecture on Ming-Shi (明史)‘ in the Royal Study Sessions and The Perception toward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With Focus on the lecture on the Myeong-gi-pyeon-nyeon (明)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1.04
40P 미리보기
숙종대 明史 진강과 명의 멸망에 대한 인식 - 『明紀編年』 진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45호 / 318 ~ 357페이지
    · 저자명 : 윤정

    초록

    본 논문은 숙종대 후반 진행된 명사 진강의 의미를 남명 사적을 포함한 멸망기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숙종대 처음으로 실행된 명사의 진강은 명의 사적을 이해하는 준거였던 『皇明通紀』를 주 교재로 하고,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명말 부분은 『명기편년』으로 보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명기편년』은 명의 鍾惺이 당대사로 저술하고 청의 王汝南이 보완한 편년체 사서로서, 왕여남은 熹宗과 毅宗대를 보충하고 『명계유문』을 통해 남명의 사적을 추가하였다. 이것은 남명을 명 역사의 연장으로 본 것으로서 「명기편년부록」의 형태로 영력제 치세 일부까지 다루었다. 이에 대해 숙종대 진강에서는 융무제까지 만을 대상으로 하여 명 멸망의 책임을 이들에게 돌렸다. 이것은 병자호란 후 조선이 북벌정책을 추진하면서 관심을 기울인 영력제의 치세를 배제한 것이다. 이와 함께 멸망의 주체로 비판되던 의종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이 변화하였는데, 이는 명 멸망의 책임을 황제에게 돌리는 시각이 대명의리의 정당성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후 대보단의 설립과정에서 진강 때까지 사용하던 회종의 호칭을 남명에서 올린 의종으로 바꾼 것은 명 멸망에 대한 변화된 인식을 반영한 것이다. 이처럼 숙종대 명사 진강을 통해 확립된 명사인식은 인조반정의 기반이 되었던 대명의리의 정당성을 역사적으로 확보하는 한편 중화의 정통을 이어가는 조선의 위상을 정립하려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lectures on Ming-Shi (明史) in the royal study sessions which was conducted during the late period of King Sukong's reign,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fall of the Ming China including the South Ming (南明). Lectures on Ming-Shi (明史), the abbreviation for lectures on Ming-Shi in the royal study sessions, used Hwang-myeong-tong-gi (皇明通紀) as a main textbook. And details of the last days of the Ming dynasty which was not covered in this book was supplemented with the Myeong-gi-pyeon-nyeon (明紀編年). This is a history book compiled in a chronological form which was written by Jong Seong (鍾惺) of the Ming dynasty and supplemented by Wang Yeonam (王汝南) of the Qing dynasty. Wang Yeonam supplemented the periods of Emperor Huijong(熹宗) and Emperor Uijong (毅宗) and added the history of South Ming with referecne to Myeong-gye-yu-mun. This means that the South Ming was regarded as part of the Ming history. It partially dealt with the period of Emperor Yeongnyeokje’s reign in the form of a supplement to Myeong-gi-pyeon-nyeon. The lectures conducted in the royal study session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dealt with history that covers the reign of rulers up to Emperor Yungmuje. It meant that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was attributed to emperors including Emperor Yungmuje. After the Manchu war of 1636, Joseon paid attention to the rule of Emperor Yeongryeokje during the process of driving plan for northern subjugation. In contrast, it was excluded the period of King Sukjong’s reign. Along with this, the perception of Emperor Uijong, who was criticized as a main culprit of collapse changed positively. It is due to the viewpoint that attributing the Ming dynasty's collapse to the emperor could damage the legitimacy of Joseon’s faithful relationship to the Ming Dynasty. The appellation, “Emperor Hwejong,” which was used during the lecture in the royal study sessions was changed into “Emperor Uijong,” which was decided in the South Ming dynasty while the foundation of Daebodan was discussed and processed. It reflected the change of the perception toward the collapse of the Ming dynasty. As such, Joseon’s perception toward the Ming dynasty's history established through lectures on the Ming-Shi (明史)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reflected its intention to secure the legitimacy of 'Faithful' relationship to the Ming Dynasty, which laid the groundwork for King Injo's restoration and establishing the status of Joseon as a successor of Chinese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