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과 明의 淫祀와 城隍祭儀 인식과 대응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and Response of Eumsa(淫祀) and Seonghwang-Ritual(城隍祭儀) in Chosun(朝鮮) Dynasty and Ming(明) Dynast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1.12
40P 미리보기
朝鮮과 明의 淫祀와 城隍祭儀 인식과 대응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효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세계 / 60권 / 163 ~ 202페이지
    · 저자명 : 장동표

    초록

    본 논문은 조선과 명 양국의 淫祀와 城隍祭儀에 대한 인식과 대응을 비교사적 관점에서 간략하게 살펴본 것이다. 조선과 명 양국의 건국 초기에 단행된 祀典 정비는 국가 통치 체제의 정비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였다. 명나라 태조는 洪武禮制 반포로 사전을 정리하면서 음사 정책도 정비하였다. 음사의 이단적 요소 때문에 정부는 효율적 통치를 위해 원칙적으로 음사를 禁毁하였고, 이로써 명나라 일대를 관통하는 법률적 형식으로 제도화하였다. 음사는 민간에 대한 독특한 기능 때문에 각 지방에서 음사를 禁毁하는 조치가 모두 같지는 않았다. 이 점은 명과 조선이 대체로 비슷하였다.
    조선의 사전체계 정비는 성종 대 國朝五禮儀 반포로 일단락된다. 민간 음사에 대한 정책은 국가의 입장에서 금지를 기본 원칙으로 하였다. 조선에서 국가와 지방의 士族들은 모든 제사에 있어서 비 유교적인 것을 淫祀로 규정하였지만, 음사에 대한 제재는 국가와 향촌의 사족과는 입장이 조금씩 달랐다. 이는 명나라에서 皇權의 음사 인식이 儒臣들의 그것과 일정 부분 달랐던 측면과 일맥상통한다. 조선의 지방관에 의한 음사 철폐는 아주 일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성황묘는 양국의 전근대 역사에서 지역 사회를 수호하고 주민 생활의 전반을 관장하는 神과 神像을 모셔두고, 제의를 거행하는 장소이다. 조선과 명나라 모두 성황제의가 正祀 체계 안에 제도적으로 편입되었다. 중국의 성황묘는 지방사회를 통제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성황묘에서 지내는 제사는 성황신앙의 가장 핵심적 표현 형식이었다.
    조선의 성황신앙과 성황묘는 주지하듯이 고려이래 중국으로부터 전파된 것이다. 성황묘에서 지내는 제의는 國朝五禮儀의 정식 의례 가운데 中祀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현실에서 성황제의는 많은 지역에서 淫祠로 분류되어 갔으며, 정식으로 독자적인 제의가 되지 못하다가 그 위상이 점점 낮아졌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유교 지식인들의 성황묘에 대한 인식은 다소 부정적이었고, 당시 사회의 풍속과 관련하여 禁毁하는 태도로 변화되어 갔다.

    영어초록

    This paper briefly examines the perceptions and responses of Eumsa(淫祀) and Seonghwang-rituals(城隍祭儀) of Chosun(朝鮮) and Ming(明) from a comparative history perspective. The maintenance of Sacrificial Rites(祀典) between Chosun and Ming was very important task in terms of state governance. As soon as the founding of the Ming, King Taejo(太祖) promulgated the Hongwu-Etiquette Orders(洪武禮制) and reorganized the Eumsa(淫祀) policy. Due to Eumsa(淫祀) which has heretical element, the government prohibit and destruct Eumsa(淫祀) for efficient governance in principle, and institutionalized it into the legal form that penetrated the Ming Dynasty. Because of its unique function to the ordinary people, the measures to prohibit and destruct Eumsa(淫祀) in each province were not identical. Regarding this, it can be seen that Ming and Chosun are generally similar. Maintenance of the Sacrificial Rites System(祀典體系) in Chosun ends with the promulgation of the Five Rituals of the State(國朝五禮儀) through period of King Seongjong(成宗). The policy of Eumsa(淫祀) to the ordinary people was based on the prohibi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state. In Chosun, the state and provincial gentry defined those rituals as non-confucian things. However, the sanctions against Eumsa(淫祀) was slightly different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provincial gentry. It is in line with the aspect that the perception of the Eumsa by the imperial power in the Ming Dynasty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fucian offices. The abolition of Eumsa by Chosun's local government was not carried out very unilaterally.
    Seonghwang-myo(城隍廟) is a place where rituals are held with the statues of gods and gods who protect the local community and give influence to all lives of residents in the pre-modern history of both countries. In both the Chosun Dynasty and the Ming Dynasty, they were systematically incorporated into the Regular-rituals(正祀) system. Seonghwang-myo in China work as very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local society. The ritual held at Seonghwang-myo is the most important form of expression of Seonghwang(城隍) faith. As it is well known, Seonghwang faith and Seonghwang-myo in Chosun was spread from China since Koryo(高麗). The ritual held at Seonghwang-myo was incorporated into the Mid-level rituals(中祀) among the Five Rituals of the State. However, in reality, the Seonghwang-rituals was classified as one of shrine in many regions, and it was not officially an independent ritual, but its status gradually decreas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perception of the Seonghwang-myo by Confucian intellectuals changed to prohibit and destruct in relation to the customs of society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세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