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을 둘러싼 몇 가지 해석상의 문제들 - Yuktidīpikā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everal Probolems in Analysis of Vasubandhu's Proof of Momentariness: with a focus on connection with Yuktidīpikā)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5.04
35P 미리보기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을 둘러싼 몇 가지 해석상의 문제들 - Yuktidīpikā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43호 / 121 ~ 155페이지
    · 저자명 : 강형철

    초록

    이 논문에서는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다룬다.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서 우선적으로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을 둘러싼 역사적 전후사정을 다룬다.
    첫 번째 문제는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이 논리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다는 카츠라(桂)의 지적에 관한 것이다. 2장에서는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 전반을 논리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당시의 논리적 배경과 사회적 상식을 활용하는 방법을 취할 것이다. 그것을 통해 카츠라의 해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진행한다.
    또 다른 문제는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을 겨냥하고 이에 대한 반론 을 펼친 것으로 보이는 상키야학파의 논서 Yuktidīpikā에서 지엽적인 주제라 할 수 있는 불꽃ㆍ소리ㆍ인식 따위의 비순간성에 대해서 지나치게 집중하고 있다는 점이다. 3장에서는 이에 관한 논리적 배경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 두 가지 문제는 긴밀한 상호관련이 있으며, 한 쪽 문제가 다른 쪽 문제를 풀어주는 매개 역할을 한다.
    최종적으로는 이를 통해서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이 지니는 논리학상의 의의에 관해서 다루었다. 바수반두의 논증이 이전의 논증들과 구분되는 점들을 지적하고, 그가 배치하고자 했던 논리적 설정들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서 바수반두가 찰나멸을 논증함에 있어서 취했던 선택과 의도를 추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Vasubandhu's Proof of Momentariness. To start with, this paper seeks to address the following questions: 1. Is the proof of Vasubandhu an error? 2. Why does the writer of Yuktidīpikā deeply attach to dispute on momentariness of flame etc.? The notion ‘All the existence in the real world is impermanent’ underlies the ideas of Indian philosophical schools. However, regarding the signification and application scope of anitya, various interpretations have been raised. Answers to how such impermanent things are able to maintain their appearance widely var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is impermanent. Anitya is a notion that is commonly accepted by Indian philosophical schools, yet an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al world varies depending how differently the anitya is viewed varies. Historically, thus, there have been a lot of disputes between schools with different views. Buddhism on the basis of anitya as key doctrine suggested the most strict standards regarding the application scope of anitya. Basically, Buddhism does not accept either immortal gods nor eternal and fundamental cause for the creation of all things. Particularly since Abhidharma doctrines had the system, in the Buddhist schools, the doctrine of momentariness (kṣaṇikavāda) that saw that all things and facts were created and became extinct repetitively every single momen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anitya theoretically.
    Disputes on the doctrine of momentariness in Yuktidīpikā proceeds in a different way from rebuttals to it by the Nyāya School or Vātsīputrīya on whic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Vātsīputrīya and the Nyāya school do not accept the changes every moment claimed by Sarvāstivādin, Sautrāntika, Yogacāra and the Sāṃkhya-Yoga school. To them, things continue to exist with self-identity and are destroyed by external causes only. Thus, in the disputes on the momentariness relating to Vātsīputrīya and the Nyāya School, the changes every moment is the important subject of argument.
    The theory of momentariness is the core tenets that define anitya in Buddhism. The stance of the Sāṃkhya school on momentariness has undergone transitions through the historial process. The discussion in Yuktidīpikā 10 is placed in the last stage of that historical process. The reason why Sāṃkhya could not accept the momentariness while claiming the changeableness was because the notion of Buddhism and the casual relationship and the notion of the extinction did not correspond with each other, which incurred the big difference in the stance on the significance of the existence between them. This is the reason why both Buddhism and Sāṃkhya explain the flow of time in different ways. Sāṃkhya in the disputes in Yuktidīpikā explains the reason the phenomena in front of our eyes disappear because they are melt into the origin, prakrti. Sāṃkhya claims that the existence perpetually continues through changes, not accepting the extinction of existence. In the disputes of Yuktidīpikā 10, this stance of Ṣāmkhya is identified in various mann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