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진출 일본 면방직기업의 종전 이후 변화 연구 -국가주도형 경제개발 과정에서의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Changes in Japanese Cotton Textile Companies Advancing into Colonies after World War Ⅱ: -A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State-led Economic Developmen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8.02
28P 미리보기
식민지 진출 일본 면방직기업의 종전 이후 변화 연구 -국가주도형 경제개발 과정에서의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경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경상논집 / 78권 / 3 ~ 30페이지
    · 저자명 : 서문석

    초록

    이 연구는 국가주도형 경제개발이 기업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전에 해외에 진출했던 일본 자본들이 종전 이후 각 나라의 경제개발 과정에서 경험한 변화와 발전을 살펴본 것이다.
    (반)식민지의 경험과 귀속기업의 존재라는 동일한 출발점을 가진 한국과 중국이 경제개발계획의 시행이라는 비슷한 방식의 국가주도형 경제개발 과정을 거쳤다. 하지만 서로다른 경제체제를 선택함으로써 어떻게 결과를 초래했는지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경제개발계획 시행 이전 귀속면방직기업들이 겪었던 공통점을 보면, 첫째 소유 주체가 대부분이 일본인이었다. 둘째, 귀속 주체가 직접관리하는 방식이었다. 반면에 차이점은, 첫째 적산기업의 접수 주체가 한국에서는 외국 군대가, 중국에서는 자국 군대가 적산기업을 접수했다. 둘째, 처리 방식이 한국에서는 민영화했지만 중국에서는 공사를 설립하거나 국영기업을 설립했다.
    다음으로 경제개발계획 시행 이후 면방직공장들이 겪었던 공통점을 보면, 첫째 정부가주도하는 경제개발계획에 직면하였다. 둘째, 면방직 부문이 경제개발계획에 주요한 대상이되지는 못했다. 셋째, 경제개발 과정에서 자립경제 구축에 기여했다. 반면에 차이점은, 첫째 경영 형태가 한국에서는 민간기업으로, 중국에서는 국유기업으로 운영되었다. 둘째, 발전경로가 한국에서는 해외수출이, 중국에서는 국내 수요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결국 기업은 보다 더 큰 시장을 활용할수록 성장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자명한 사실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개혁개방 이후 해외시장에 진출한 중국 기업의 성장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이다.
    물론 모든 경제체제는 서로 추구하는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업의 외적 형태 변화에 대한 한정된 비교라는 한계를 가진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ing postwar process of Japanese cotton textile companies advancing into colonies after World War Ⅱ. Korea and China had the same starting point, with their similar colonial experience and their reliance on vested companies. The two countries also endured a similar state-led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South Korea chose the capitalist economic system, and China chose the socialist o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e how they reached different results.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findings.
    The similarity of Japanese vested cotton textile companies before they implemented economic development plans were twofold. First, the company owners were mostly Japanese. Second, a vested agent was responsible for directly managing the companies. The difference is that first, the agent of requisition for an vested companies, received foreign army in Korea, and their own army took companies in China. Second, although the processing method was privatized in Korea, China established public corporation or state-owned companies.
    Next, the similarity of vested cotton textiles companies after they implemented economic development plans were threefold. First, companies faced state-led economic development plans. Second, the cotton textile sector was not a major target for economic development. Third, companies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economy over the course of economic development. The difference is that first, they operated as private companies in Korea and as nationalized companies in China. Second, the growth path of Korean companies were export-centric. For China, growth was based on the domestic demand.
    Eventually, the company reaffirmed its clear conviction that the bigger the market, the better the growth opportunities. After reform and opening, the growth of Chinese companies that entered overseas markets can also be confir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경상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