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면학(面學)의 교수체제 연구 -도훈장제 및 면훈장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eaching system of Myeonhak(面學)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ed on Do Hunjangje and Myeon Hunjangj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7.11
32P 미리보기
조선후기 면학(面學)의 교수체제 연구 -도훈장제 및 면훈장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교육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학연구 / 27권 / 2호 / 109 ~ 140페이지
    · 저자명 : 이성심

    초록

    본 연구는 조선정부가 지방관료에게 부여한 지방교육자치의 일환으로, 수령들이 군·현의 하부단위에 면학을 설립하고, 면학체제 정비를 위해 도훈장제 및 면훈장제를 운영하였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조선정부는 축일과수(逐日課修)를 목적으로 한 매일 교육체제 수립을 위하여 조현명의 「권학절목」을 반포하였다. 「권학절목」 반포 후 지방학교는 영학-군학-면학의 체제로 변모하였고, 교수담당자도 행정 단위에 따라 구분하였다. 향교의 강학업무를 담당하는 교임 외에 군·현 단위 교육을 통솔하는 도훈장 제도와 면·리 단위 교육을 통솔하는 면훈장 제도를 신설하였다. 지방관(수령)은 도훈장 및 면훈장 제도를 함께 운영하여 재장-면훈장-도훈장-향교-수령의 보고체계를 확립하였다.
    이헌영은 전라도 부안, 평안도 정주, 평안도 의주, 오횡묵은 강원도 정선, 경상도 자인, 함안, 고성, 진보(청송), 전라도 지도 및 익산군 수령일 때 면훈장 및 면강장을 임명하고 하첩을 내려 권학을 장려하였다. 이헌영과 오횡묵은 지방관(수령)으로 근무한 모든 군·현에서 면훈장제를 운영하였다.
    리(里)단위 학교규모가 파악된 백량면은 18-19 가구당 1개의 서당이, 면(面)단위 학교규모만 파악된 순흥(영주)읍은 185 가구당 1개의 서당이 설립되어 있었다. 도훈장 및 면훈장 제도는 매일교육이 가능한 가숙, 사숙, 향숙, 서재, 정사 등의 건설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as a part of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granted to the local bureaucrats by the Joseon government, they established Myeonhak(面學) in the subordinate units of Gun·Hyeon(郡·縣) and ran the Dohunjang(都訓長) System and Myeonhunjang(面訓長)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udy system.
    In order to establish a daily educa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Chukilgwasu(逐日課修), Jo-Hyeonmyeong’s 「Gweonhakjeolmok(勸學節目)」 was proclaimed. After the dissemination of the 「Gweonhakjeolmok」, the provincial schools were transformed into the system of Yeonghak(營學)-Gunhak(郡學)-Myeonhak(面學), and professors were divided according to administrative units. In addition to the teaching committee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al affairs of Hyanggyo(鄕校), a new system of Dohunjang(都訓長) System to lead the education of Gun·Hyeon(郡·縣) and Myeonhunjang(面訓長) System was established to lead the education of Myeon·Ri(面·里). The Dohunjang(都訓長) System and Myeonhunjang(面訓長) System was not operated separately but the two systems were operated together to provide a reward system, Jaejang(齋長)-Myeonhunjang(面訓長)-Dohunjang(都訓長)-Hyanggyo(鄕校)-Suryeong(守令).
    Lee-Heonyeong and O-Hoengmuk operated Myeonhunjang(面訓長) System in Gun·Hyeon(郡·縣) that they served as the district governors.
    There was one seodang per 18∼19 households in Baekryang, per 185 households in Yeongju, where the size of the Myeon(面) unit school was known. Dohunjang(都訓長) System and Myeonhunjang(面訓長) System has been operated as a way to organize the school system in Myeon·Ri(面·里) as the local school system has been systemized into the field of Yeonghak(營學)-Gunhak(郡學)-Myeonhak(面學)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