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먹방의 광고 고지 및 시청 동기가 식품 섭취 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 Disclosure and Motivation for Watching Mukbang on Viewers’ Eating Intent)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1.06
41P 미리보기
먹방의 광고 고지 및 시청 동기가 식품 섭취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5권 / 3호 / 39 ~ 79페이지
    · 저자명 : 안순태, 이지윤

    초록

    인플루언서나 유튜버 등이 금전적인 대가를 받고도 받지 않은 것처럼 가장하는 뒷광고 논란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유료광고임을 표시하도록 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료 광고 표시, 즉 광고 고지가 먹방에서 나타날 때 광고 고지가 먹방 속 식품의 섭취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특히 먹방을 시청하는 동기에 따라 광고 고지의 효과가 달라지는지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총 329명의 성인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광고가 고지된 먹방과 광고가 고지되지 않은 먹방을 시청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총 7가지의 시청 동기가 측정되었다: 1) 지루한 시간을 보내기 위해, 2)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3) 습관적으로, 4) 다른 사람의 추천이나 매체의 호평, 5) 유익한 정보를 얻기 위해, 6) 대리만족을 위해, 7) 재미있어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광고 고지는 실험 참여자들의 광고 인지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정거래위원회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광고 고지는 시청자의 입장에서 광고임을 인지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시청 동기의 측면에서, 7가지 시청 동기 중 3가지의 시청 동기만 유효한 조절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사람의 추천이나 매체의 호평, 유익한 정보를 얻기 위해, 대리만족을 위해. 연구 결과에 따르면 3가지 시청 동기가 높은 사람은 광고의 고지가 있을 때 먹방에 등장하는 식품에 대한 섭취 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시청동기는 시청자가 목적 지향적인 시청을 하는지 또는 의례적인 시청을 하는지에 따라서 도구적 시청과 의례적 시청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시청자가 도구적 시청을 통해 먹방을 보는 경우 광고 고지와 식품 섭취 의도 사이에서 시청자의 시청 동기가 조절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유튜브 등에 대해 처음으로 시작된 광고 고지의 효과를 살펴본 첫 시도라는 점에서 시의성을 가지며, 시청 동기에 따라 먹방 시청자의 식품 섭취 의도가 세분화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어초록

    Korea Fair Trade Commission(KFTC) requires influencers or Youtubers to disclose sponsorship when they receive monetary compensation by using words like “paid ad”. This guideline is now applied to Mukbang(popular online eating show) video to clarify whether a Mukbang show advertises food in the video. This study explored how the motivation to watch Mukbang video effects viewers’ eating intent in relation to the ad disclosure on Mukbang video. Since habitual Mukbang watching is related to viewers’ unhealthy eating habit, it is critical to study whether the viewers perceive ad disclosure on Mukbang and how they are influenced by the ad in terms of eating intent. Participants were 329 adults aged 19-39 and they watched two types of Mukbang video with ad disclosure and without ad disclosure. After watching the video, the participants’ eating intent and watching motivation for Mukbang video were asked. Seven watching motivations of the participants were measured for this study: 1) relieving boredom, 2) relieving stress, 3) watching as a habitual behavior, 4) recommendation from others or favorable comments in the media, 5) seeking useful information, 6) vicarious satisfaction, and 7) having fun. Those motivations for watching reflects audiences’ viewing types including instrumental viewing and ritualized viewing. The result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eating intent did not demonstr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disclosed group and non-disclosed group. Regarding watching motivations, only three motivation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ith the ad disclosure condition: Recommendation from others or favorable comments in the media, seeking useful information, and vicariou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highly motivated participants’ eating intent was higher than low motivated participants when ad disclosure was available. The difference between significant watching motivations and non-significant watching motivation showed that viewers’ instrumental viewing is related to the moderating effect. The three significant watching motivations are considered as instrumental viewing,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ad disclosure was significant when the viewers are purposefully watching Mukbang. In contrast, when the viewers are watching Mukbang without any instrumental purpose (ritualized viewing), the effect of ad disclosure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timely assessment on the effects of ad disclosure. Mukbang could affect viewers’ health including eating habit, and therefore, understanding the effect of ad disclosure on Mukbang would be beneficial. Also, the current study points out the role of watching motivations to moderate effects of ad disclosure for Mukb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