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맹제외기준’에 의한 안마사자격 규정에 대한 헌법적 고찰 (A Constitutional Examination on Massager Qualification of 'a Non-Blind Escape Clause' in Medical Services Law)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08.08
24P 미리보기
‘비맹제외기준’에 의한 안마사자격 규정에 대한 헌법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9권 / 3호 / 251 ~ 274페이지
    · 저자명 : 조소영

    초록

    의료법 규정은 안마사 자격을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시각장애인에 대해서만 시도지사가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이 ‘비맹제외기준’은 시각장애인이 아닌 자들의 안마사라는 직업선택에 대한 제한이고, 그 제한 사유가 희망하는 기본권 주체의 주관적인 능력과는 무관한 시각장애라는 객관적인 것이므로, 헌법 제37조 제2항에 의한 각 제한의 한계, 즉 목적상의 한계, 방법상의 한계(과잉금지원칙의 적용), 내용상의 한계(헌법 제10조와의 관계에서 검토)를 준수하고 있는가를 검토하되 모든 검토에 있어서 엄격한 심사를 위하여 특별한 종류나 특정한 정도의 공익성, 즉 ‘월등하게 중요한 공익을 위하여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가를 常時的인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각각의 심사단계에서는 비맹제외기준의 위헌성을 현실적 필요성이나 국가재정의 정책적 측면이 아닌 헌법적인 논증을 통해 결론지었다. 또한 이 사례는 헌법이 보장하는 직업의 자유를 실현해 감에 있어서 헌법상의 평등 정신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구체화할 것을 요구하는 것인 CAN 명령의 경우로 해석하고, 입법권자가 안마사라는 직업에 대한 선택의 자유를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과 일반인에 대하여 평등하게 실현하기 위하여 그 입법적 수단을 어떻게 선택하고 구체화했는가에 대한 헌법적 판단은 직업선택의 자유에 대한 합헌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포함하여 별도의 논의를 하지 않았다. 일제 식민지시대부터의 역사, 제도에 대한 시각장애인의 신뢰, 열악한 시각장애인에 대한 복지서비스 수준, 특히 직업재활과 고용분야의 복지수준은 상황의 절박함을 보여주며, 더 이상의 재론이 필요 없는 어두운 현실의 존재를 인식하게 한다. 그러나 안마사는 시각장애인이어야 한다는 사회적 관행과 관행이 유지되어 온 시간의 길이, 현실적으로 너무나 절박한 상황이 앞으로도 비맹제외기준이 계속적으로 유지되어야만 하는 필연적인 이유, 더군다나 헌법적 정당성을 인정할 수 있는 이유가 될 수는 없다. 안마사직역의 사회경제적 의미나 환경의 변화, 국가의 경제수준과 재정규모 등을 고려할 때, 시각장애인을 위한 복지정책에 대한 반성과 발상의 전환이 절박하게 필요하다. ‘비맹제외기준’에 대한 헌재의 결정은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되는 것이어야 하며, 거시적인 복지정책 재설계의 차원에서 복지문제에 대한 인식과 발상의 전환을 촉구하는 것이어야 한다. 헌법재판소는 합목적적이고 타당한 국가복지정책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헌법적 지침과 기준을 제시하는 곳으로서의 본래적 기능을 다해야 한다. 정책권자들이 더 치밀하게 고민하고 노력해야 하는 구체적인 과제들을 헌법재판소가 대신할 수는 없는 것이므로, 보다 간명하고 엄정한 헌법적 결정을 통해서 정부당국의 몫을 그들에게 되돌려야 한다.

    영어초록

    The Medical Services Law prescribes that a mayor or a provincial governor qualifies only a blind-person for a massager according to the Law for Welfare of the Disabled. I examine on constitutionality of this so-called 'a non-blind escape clause'. I think that this 'a non-blind escape clause' is restricted in a non-blind person's selection of massager job and that the restriction reason corresponds to an objective ground irrelevant to subjective capacity of the subject of that right. So I am studying whether this clause observe or not limitations of restriction to constitutional rights under Sub-Section 2, Section 37 of Our Constitution. The limitations are as follows: in the purposeful(intentional) aspect, in the methodic aspect(apply Das Übermaßverbotsprinzip), in the formal aspect(make no mention of it in here), in the substantial aspect. I apply 'clear and present danger' test in all examination steps for strict examination and constitutional arguments theoretically.
    the State Department of Health Welfare & Family administers programs to aid blind persons such as establishing businesses operating vending machines and providing job training and assistance in other social areas to blind persons. The government and the Legislative have intent and should try to give priority to blind persons in constitutional categories and methods as like establishing orientation centers for the blind which are designed to prepare blind persons for useful and remunerative work in trades and professions, authorizing the Department to appoint counselor-teachers to provide individual guidance and training to adult blind persons, and assigning a reader to assist qualified blind persons towards graduation from a university, college. These have fallen to policy-maker's portion. These efforts are in accord with legal duty existed at our Constitution to relieve the blind. But The Constitutional Court must not be replacing policy-maker & law-maker. It should present constitutional guiding principle and standard meet the needs of the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