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億 初期 文學과 漢文脈의 再構成 (Kim Ŏk’s Early Works and Reconstitution of ‘The Context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Writings’ (漢文脈))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4.12
42P 미리보기
金億 初期 文學과 漢文脈의 再構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44호 / 5 ~ 46페이지
    · 저자명 : 정기인

    초록

    이 논문은 한국문학사에서 서구시의 소개 및 번역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김억, 특히 그의 초기 문학이 漢文脈 영향 아래에 쓰였고, 이를 재구성하면서 자신의 시를 창작하고 시론을 전개했다는 것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동안 김억 초기 문학에서 일본을 경유한 歐文脈의 영향만을 과대평가한 것을 넘어서, 한문맥이라는 형태의 전통을 어떻게 전유해가며 자국어 문학을 고민하는지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김억 당대 한문학의 융성을 지적하고, 김억을 포함한 당대 일반적인 한문교육의 상황을 소개한다. 이와 관련한 김억의 문학 활동, 예를 들어 김억이 한시를 써서 편지로 부치는 행위나, 한시를 읽는 것을 낙으로 여겼다는 것은, 한문맥의 아비투스가 잔존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김억은 자기 글의 독자를 한문을 잘 해석할 수 있는 한문맥의 지식이 있는 사람으로 설정하고 있었으며, 한시와 대비하며 서구시들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1장의 내용은 당대 지식인들에게 한문맥이 공동의 지식이자 인식틀로 기능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2장에서는 앞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김억의 「시형의 음율과 호흡」(1919)에서 ‘天理’라는 한문맥 개념을 전유하고 있다는 데에 주목한다. 天理는 한문맥에서 절대적 이치를 의미하는 개념이면서 동시에 절대적 위상을 지니고 있는 개념이다. 김억은 이 개념을 근거로 해서 ‘詩人의精神과 心靈의産物인絶對價値를 가진詩’를 주장하게 된다. 이러한 개인 성정의 강조는 40년대에도 ‘思無邪’라는 공자의 개념에 대한 전유를 통해 드러난다. 이처럼 김억은 자신의 시론에서 한문맥의 개념들을 재구성하는 것을 통해서 자신의 사유를 전개한다.
    3장에서는 김억의 창작 한시 4편과 김억 초기 시와의 유사성을 검토하며, 나아가 김억 초기시와 한시 일반과의 유사성을 논한다. 주제와 정조, 정서 표출의 대상물로서 자연을 사용, 운율의식, 對偶의 사용, 기승전결의 구조와 도붕시(悼朋詩)의 갈래적 특성을 공유하는 등의 유사점이 발견된다. 특히 운율의식, 對偶의 사용, 기승전결의 구조와 도붕시의 갈래적 특성은 김억의 초기시가 한시의 발상과 구조에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이다. 김억이 수학했던 궤적이나, 김억이 어느 지면에도 자신이 한시를 썼었다는 사실을 밝히지 않았다는 점을 미루어보면, 현재 발견된 한시 이외에도 김억이 쓴 한시가 더 있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 특히 그의 초기시와 한시의 유사성을 고려해보면, 한시를 더 많이 쓰지는 않았다고 하더라도 그가 한시를 읽고 한시의 재구성을 통해서 조선어 초기 시를 창작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김억의 초기문학과 한문맥은 상당히 결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남은 문제는 1925년 이후 김억의 문학에서 나타나는 한문맥의 영향과 그것의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는 것이다. 김억은 792편의 한시를 그가 조선적 정형시 형식이라 주장하는 ‘격조시’형으로 번역한다. 그가 시의 번역도 일종의 ‘창작’이라고 주장했던 것을 염두에 둔다면, 이는 한문맥의 풍요로운 자산을 조선어 시로 탈바꿈하여, 조선어 시를 풍요롭게 했던 시도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김억 초기문학은 한문맥의 재구성을 통해서 이루어졌고, 후기 문학은 한문맥을 조선어로 재창작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rgues that the early literary works of Kim Ŏk, who is well known for the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of western poetry in Korean literature, were influenced by ‘the context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writings’ (漢文脈), and that he wrote his poetry and expanded his theory by reconstituting ‘the context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writings.’ This study will overcome som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at only emphasized on the influence of ‘the context related with western writings’ (歐文脈) mainly through Japan, and will illustrate how Kim Ŏk appropriated the traditional form of ‘the context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writings,’ which reveals his ideas about literature in his own native language.
    In the first chapter, this paper points out the high popularity of studying classical Chinese texts, as well as general conditions for the eduction of classical Chinese. Some relevant activities of Kim Ŏk, such as his letters with classical Chinese poetry, his preference to reading classical Chinese poetry, demonstrate that “habitus” of ‘the context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writings’ remained. Moreover, Kim Ŏk considered his readers as the intellectuals who were capable of understanding classical Chinese texts. He also explained western poetry by making comparisons with classical Chinese poetry. This will illustrate that ‘the context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writings’ functioned as a common language and perceptional framework for comtemporary intellectuals.
    The second chapter focuses that the concept of ‘the context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writings,’ ‘Heaven’s logic’ (天理) was appropriated in ‘Poetry Form’s Rhythm and Breath’ (「시형의 음율과 호흡」(1919). In ‘the context of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writings,’ ‘Heaven’s logic’ refers to the absolute truth. Based on this concept, Kim Ŏk argued that ‘poetry is from poet’s spirit and mind and has absolute value.’ The appropriation of Confucius’ concept, ‘there is no malicious intention in thinking,’ (思無邪) in the 1940s, also stressed the significance of personality and emotion. By reconstituting concepts in ‘the context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writings,’ Kim Ŏk developed his own theories of poetry.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four classical Chinese poems written by Kim Ŏk and his early poetry, and the similarity between his early poetry and Chinese classical poetry. The similarities are observed in that the nature was used as subjects and as objects for expressing feeling and emotion. Kim Ŏk’s poetry also have similarities with Chinese classical poetry in that they share consciousness of rhythm, use of contraposition (對偶), structure of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起承轉結), and characteristics of mourning of friend’s poem (悼朋詩). In particular, consciousness of rhythm, use of contraposition (對偶), structure of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and characteristics of mourning of friend’s poem prove that the early works of Kim Ŏk was affected by ideas and the structure of classical Chinese poetry. Considering that Kim Ŏk had never publicly acknowledged that he wrote classical Chinese poetry and his relevant studies have not been completely reveale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re exist more classical Chinese poetry that Kim Ŏk wrote. Moreover, given the similarity between Kim Ŏk’s early poetry and classical Chinese poetry, it is apparent that he created his early poetry in Korean vernacular poetry by reading and recomposing classical Chinese poetry, even though he might have not written more classical Chinese poetry.
    This study shows that Kim Ŏk’s early works and ‘the context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writings’ are closely related. The remaining questions are about the influence of ‘the context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writings’ in Kim Ŏk’s works after the year of 1925 and its meaning in studies of literature. Kim Ŏk translated 792 Chinese poetry in the form of ‘noble poem’ (格調詩), which he regarded as the traditional form of Korean fixed verse. Considering that Kim Ŏk argued that translation is also a “creation,” his attempts can be interpreted as an effort to enrich Korean vernacular poetry by utilizing rich assets of ‘the context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writings’ in writing his own Korean vernacular poetry. This article concludes that Kim Ŏk’s early poetry was the result of reconstructing ‘the context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writings,’ and his late poetry was the result of creative transforming of ‘the context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writings’ into Korean vernacular poetr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