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말 시 잡지 [國民詩歌]의 위상과 가치 (2) ― 국민시론・민족‧미의 도상학 (A study on KOKUMINSIKA (2))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4.08
48P 미리보기
일제 말 시 잡지 [國民詩歌]의 위상과 가치 (2) ― 국민시론・민족‧미의 도상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40호 / 227 ~ 274페이지
    · 저자명 : 최현식

    초록

    본고는 [國民詩歌]의 국민문화론과 국민시론, 그것이 가진 식민주의와 폭력성의 문제를 검토한다. [國民詩歌]파는 국가가 없으므로 조선문화와 조선어 역시 상실된 것으로 간주했다. 조선문화는 일본문화에 완전히 합치될 때만이 제국의 ‘국민문화’에 참여할 수 있다는 논리가 출현하는 지점이다. 그것의 식민주의와 폭력성은 [국민문학]의 최재서와 김종한이 주장한 ‘신지방주의론’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들은 도쿄와 경성이 동등한 지방인 거처럼, 조선문화도 독립적인 지방문화라고 주장했다. 다음으로, [國民詩歌]파는 ‘국민문학’은 대동아공영의 달성을 위한 전선총후(戰線銃後)에 복무하는 전쟁예술로 그 위상과 역할을 정립했다. 조선에서의 ‘국민시’ 역시 총력전을 위한 ‘애국시’로 지시되었다. 이는 [만요슈(萬葉集)]의 ‘일본정신’이 『애국백인일수』의 ‘애국정신’으로 특화되는 형식으로 나타난다. 김억은 양 저서의 번역을 통해 ‘일본정신’의 조선화를 매개한 경우다. 하지만 번역에 동원된 양장(兩章)시조와 고어투의 조선어는 오히려 ‘조선적인 것’을 환기한다. 총력전의 현실은 그러나 ‘조선적인 것’의 가능성을 차단, 결국 그것을 ‘일본정신’에 흡수시켰다. 이는 미요시 타츠지의 국민시론과 연애시집을 함께 살펴볼 때 훨씬 분명해진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KOUKUMINSIKA(National Poetry)’s national culture theory and national poetry theory and also the matter of its colonialism and violence. The KOUKUMINSIKAschool regarded both Chosun culture and Chosun language were lost as the nation did not exist. And this was the point where the logic that it was possible to participate in the empire’s ‘national culture’ only when Chosun culture was completely united into Japanese culture emerged. The colonialism and violence of it is clearly exposed in ‘new regionalism’ supported by Choi, Jae-seo and Kim, Jong-han from KOUKUMINSIKA.
    They insisted that Chosun culture was an independent region’s culture just like Tokyo’s or Gyeongseong’s culture in the same status. Next, the KOUKUMINSIKAschool established the status and roles of ‘National Literature’ as the art of war of serving in the front and back to attain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National poetry’ in Chosun, too, was ordered as ‘patriotic poetry’ for all-out war. This is shown in the form that MANYOSHYO’s ‘Japanese mind’ is specified as AEGUKBAEKINILSU’s ‘patriotic spirit’. The translation of Kim Eok’s two works mediated in ‘Japanese mind’ spreading in Chosun. However, yangjang sijo and antiquated Chosun language used in the translation rather aroused ‘what to be like Chosun’. But the reality of all-out war blocked all the possibilities of ‘being like Chosun’ and absorbed everything into ‘Japanese mind’ after all. This becomes even clearer when we examine Miyosi Tatsuzi’s national poetry theory and love poem collecti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