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 2세 반 담임교사의 팀티칭 보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A study in narrative regarding team teaching child care experiences of a teacher in charge of two‐year‐old childre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3.09
36P 미리보기
만 2세 반 담임교사의 팀티칭 보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 17권 / 3호 / 229 ~ 264페이지
    · 저자명 : 서혜정, 이수윤, 고지민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 만 2세 영아반 2반이 한 교실에서 팀티칭하는 교실운영에 대한 내러티브탐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한 교실을 공동 보육하는 만 2세 영아반 담임교사 1인이다. 자료수집은 2011년 4월15일부터 2011년 10월 2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심층면담을 통한 면담자료, 수업협의 자료, 반성적 저널을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두 교사의 상충되는 서로 다른 교육 가치관, 동등하지 않은 두 교사의 불편한 동행을 통해 맥락 단절된 수업 바통 넘기기를 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 대 영아 비율 2:14가 1:14로 되는 현상이 생기기도 하면서 교사들은 때로는 ‘내 반, 네 반’, 때로는 ‘우리 반’이라는 이중적인 잣대로 영아를만나는 불편한 진실이 있었다. 둘째, 두 교사는 동고동락하며 교실운영에 대한 서로의 견해를 좁히고자하였고 긴장을 늦추지 않고 좋은 교사로 지향하며 서로에게 배우는 기회를 가졌다. 뿐만 아니라, 서로다른 두 교사가 팀티칭으로 보육하기 위해서는 서로 소통하고 양보하며 협업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만 2세반 2개 반이 교실 공간을 함께 사용하는 팀티칭 운영에서 변화가 필요한 불편한 진실과 이러한불편함을 긍정적인 동행으로 전환하는 노력을 드러냄으로써 효율적인 협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narrative study on classroom operation in which team teaching is made in a classroom of two‐year‐old children’s section in a daycare center.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two co‐teachers of two‐year‐old children’s section.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April 15 to October 22 in 2011 through in‐depth interviews, teaching plans and reflective journals. They were analyzed by induc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wo teachers delivered the ball to other’s net by giving contextually unconnected class to the counterpart through uncomfortable accompaniment with the other teacher because of different sense of value on education and unequal status between them. There was an uncomfortable reality that they meet children with ambivalent senses such as ‘my class’, ‘your class’ and sometimes ‘our class’ making the teacher to children ratio from 2:14 to 1:14. Secondly,they tried to narrow the gap in class operation, tried to be a good teacher and had opportunity to learn from the counterpart sharing their joys and sorrows together. Additionally, they communicated and cooperated to take care of children through team teaching. This study suggested that efficient cooperation could be made by showing efforts to transit uncomfortable accompaniment and inconveniences that should be changed in team teaching operation having two classes in a classroom to the positive accompani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