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안내의 검토를 통한 취약아동돌봄 입법의 방향-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안내 위헌확인(헌재 2022.1.27. 2019헌마583) 판례를 중심으로 - (Infringement of Personal Rights by Priority Care in Local Child Centers and Stigma of Vulnerable Children- A Review on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2019Hunma583 Decided 27. Jan. 2022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3.02
30P 미리보기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안내의 검토를 통한 취약아동돌봄 입법의 방향-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안내 위헌확인(헌재 2022.1.27. 2019헌마583) 판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입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입법학연구 / 20권 / 1호 / 149 ~ 178페이지
    · 저자명 : 정애령

    초록

    본 글은 지역아동센터 시설별 신고정원의 80%이상을 돌봄취약아동으로 구성하도록 정한 2019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안내가 지역아동센터 운영자와 이용아동의 기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차별없이 성장해야 하는 아동의 인격권을 효율적으로 보장하는 방안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다.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아동의 보호와 교육 및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지역사회 연계 등의 아동의 건전육성을 위한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지역아동센터는 하나의 사회적 가정으로서 아동의 일차적 지지단위인 가정의 기능을 일부 대체하는 역할을 하며, 이른바 사회적 돌봄의 주요 행위자로서 돌봄이 필요한 아이들에게 인간다운 생활의 영위를 위한 사회적 기본권의 실현장치이다. 그러나 문제된 2019 사업안내에서 규정하는 바와 같이 돌봄취약아동으로 80%이상을 구성하도록 한다면, 돌봄취약아동들에게 우선적 돌봄을 제공하는 기회가 될 수 있지만, 이것이 동시에 사생활 침해 또는 낙인에 의한 인격권을 침해하는 공권력 행사로 작동한다.
    사회적 기본권의 실현은 국가의 경제상황 및 보충적 한계로 말미암아 입법자에게 광범위가 형성권이 인정된다. 이에 따라 사회적 기본권의 최적 실현을 위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나아가 이제는 법과 제도가 사회적 약자에 대하여 충분한 보호를 수행하는가의 관점을 넘어, 수혜적 정책이 동시에 이용 대상의 인격권을 침해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동정에 호소하여 복지정책을 실시하는 경우, 일시적인 물질적 도움을 줄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 헌법상 평등과 민주주의 정신에 부합하는 정책이 되기는 어렵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돌봄취약아동에 대한 우선적 기회제공과 보호는 사회적 기본권을 보장하고 사회국가원리를 실현하는 우리 헌법상 정당화되는 공익이지만 이러한 공익을 실현함에 있어서도 발생할 수 있는 기본권 침해의 최소화는 당연하고, 돌봄취약아동과 일반아동을 분리하여 성장하는 아동들에게 낙인감을 심어주는 방식이 아닌 더불어 성장하고 보호받을 수 있는 복지실현의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를 실현함에 있어서 수혜대상자들을 불쌍하거나 도움이 필요한 사람으로 규정짓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그와 같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처지에 놓이게 된 것은 사회 구조적, 역사적, 반복적으로 차별받고 배제된 결과라는 더욱 본질적인 문제를 인식할 필요가 있겠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begins with a question of how to efficiently guarantee the personal rights of children who need to grow without discrimination, in the case of whether the 2019 local child center support project guide, which is set to consist of more than 80% of the reported number of vulnerable children by local child center facilities. The local children's center is a facility that provides comprehensive child welfare services for the protection of local children, education, the provision of sound play and entertainment, and the healthy development of children such as community connection. The local children's center serves to partially replace the function of the family, the primary support unit of the child, as a social family, and is a device for realizing basic social rights for children in need of care. However, as stipulated in the 2019 project plan in question, if more than 80% of children are vulnerable to care, it can be an opportunity to provide priority care to vulnerable children, but at the same time, this constitutes invasion of privacy or infringement of personal rights by stigma.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welfare policies in an appeal of sympathy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may provide temporary material assistance, but ultimately it is difficult to become a policy that is in line with the spirit of constitutional equality and democracy. The provision and protection of priority opportunities for vulnerable children in care is a justified public interest in our Constitution that guarantees the fundamental rights of society and realizes the principles of the social state, but in the realization of these public interests, it is natural to minimize the violations of fundamental rights that may arise in the realization of these public interests, and we must take measures to realize welfare that can grow and be protected together, rather than in a way that instills a stigma in children who grow up by separating the children in care from the children in their ca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입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